[기고-양은]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과거 단순 자선활동 위주였던 공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최근 들어 공기업의 기능과 역할에 맞추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농업·농촌 및 지역 현장의 최일선 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농어업과 지역사회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어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기관장을 봉사단장으로 한 10개 지역본부, 134개 단위 봉사팀으로 구성된 ‘희망나누미 봉사단’을 운영하여 전사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여러 활동 중 대표적인 것은 ‘농어촌 집 고쳐주기’다. 우리나라 농어촌의 주거 환경 현실은 다섯 집 중 한 집이 비 새는 지붕, 재래식 화장실, 허술한 난방시설 등 법이 정한 최저 주거 기준에도 못 미치는 열악한 상황이지만 공공임대주택 등 정부 지원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농어촌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하여 공사는 2007년에 비영리 재단법인 ‘다솜둥지복지재단’을 출범시켰고 전 임직원의 자발적 모금과 봉사활동을 통하여 현재까지 500여 가구의 지붕, 부엌, 화장실 등을 무상으로 보수하여 최소한의 주거생활 안정에 도움을 주었다.
이외에 농어촌지역의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 활동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2006년부터 내복펀드를 조성하여 전국 농어촌의 홀몸 어르신들께 약 3000벌의 내복을 구입하여 전달하고 있으며, 농어촌 남성과 결혼하는 외국 여성을 위해 2008년부터 결혼 이주 여성들이 안정적으로 국내에 정착하고 원만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61가구의 모국방문을 지원하였다. 올해 10월에는 이를 더욱 확대하여 농어촌의 다문화 가정 중 경제적 여건으로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부부 20쌍을 선정하여 합동결혼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공사는 농어촌 지역 및 장애인의 청년 실업난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2010년에 한국폴리텍 대학과 연계하여 물관리 전문교육 과정을 개설하여 2011년에 교육생 32명을 채용하였다. 올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에서는 채용인원의 50%를 농어업인 자녀와 장애인으로 선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연탄 나누기, 사랑의 김장 나누기, 장애아동 서울나들이 및 농어촌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돌보미 해피콜 전담직원의 연락처를 기재한 스티커 발행, 빈차 태워주기와 의료서비스 소외 지역인 농어촌 지역을 방문하여 기초진료 및 한방 침과 부항 등 어르신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실시하도록 의료진과 협약을 맺고 있다.
또 학생들과 함께 내고향 물 살리기 환경정화 활동을 펼쳐 환경보전 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급식봉사, 교실청소, 소풍행사 지원 등 농어촌 학교의 서포터스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농어촌 지역 아동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농어촌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꿈나무들을 위한 봉사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제14호 태풍 덴빈과 제15호 태풍 볼라벤, 그리고 얼마 전 발생한 제16호 산바로 큰 피해를 본 농가를 방문해 벼 세우기, 비닐하우스 보수, 지지목 보완, 낙과 수거 작업을 했으며, 앞으로 낙과 팔아주기 운동 등 지속적인 농촌 일손돕기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처럼 농어촌공사는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으로 어려운 농어촌과 소외받는 이웃의 복지 증진을 통해 참된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는 공기업으로서 우리 모두 행복해지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 큰 사랑을 실천할 방침이다.
양은 한국농어촌공사 이사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