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건설 특집-포스코건설] 중남미 에너지플랜트사업 쾌속 질주
포스코건설은 국내 대형 건설사로는 최초로 2006년 12월 에너지사업본부를 신설하고, 당시 중동시장에 집중하던 타 건설사와 차별화된 정책을 펼쳐 미개척지인 중남미 국가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포스코건설은 1998년 브라질 남동부 투바라옹 항구 인근에 연산 400만t 규모의 펠릿공장을 준공하면서 중남미 지역과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2006년 에너지플랜트 칠레 벤타나스 석탄화력발전소(240㎿급)를 총 공사비 3억7000만 달러에 수주해 중남미 에너지 시장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 사업은 국내 건설사 최초의 중남미 에너지플랜트시장 진출이라는 점에서 관련 업계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이어 포스코건설은 칠레에서 2007년 270㎿급 캄피체와 520㎿급 앙가모스 석탄화력발전소를 연속 수주했고, 2010년에는 400㎿급 산타마리아 Ⅱ 석탄화력발전소를 수주했다. 여세를 몰아 지난 6월에는 석탄화력발전소 두 곳(540㎿급, 400㎿급)을 잇따라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칠레에서 보여준 탄탄한 기술력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포스코건설은 페루에서도 2009년 3억5000만 달러 규모의 830㎿급 칼파 복합화력발전소와 2010년 2억9000만 달러 규모의 810㎿급 칠카 우노 복합화력발전소를 연속 수주했다.
특히 포스코건설은 해외 사업부문의 역량을 강화한 결과, 지난해 12월 약 5조원 규모의 브라질 CSP 일관제철소를 수주했다. 이는 국내 건설업체가 해외에서 수주한 단일 플랜트 공사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제선·제강·연주 등 일관제철소의 모든 공정에 대해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까지 EPC(설계·구매·시공) 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건설사라는 점이 수주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로써 포스코건설은 중남미 지역에 진출해 총 13건, 94억 달러 규모의 제철, 에너지플랜트를 수주하는 성과를 올렸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