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 갈등 고조] 경제로 치고받을 땐 침체된 글로벌경제도 충격
중국과 일본은 2010년에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을 빚었다. 당시 중국은 희토류 수출 금지로 맞서 일본의 백기 항복을 받아낸 바 있다.
중국은 이번에도 경제제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에 타격이 예상된다.
◇경제 창 든 中, 美 방패 든 日=중국 국영 CCTV는 지난 주말 2개 주요 채널에서 일본 상품 광고를 중단했다. 관광총국은 지난주 전국 여행사에 다음달 초 국경절 연휴 때 일본 관광상품 판매를 취소하라고 지시하면서 손해배상까지 약속했다.
이미 일본 자동차의 중국 내 시장점유율은 8월 이후 2% 하락했고, 도시바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대기업의 중국 수출도 40%나 줄었다고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가 1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일 분쟁의 경제적 타격으로 일본 경제의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일본은 2년 전처럼 당하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겐바 고이치로 외무상이 이날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과 만난 것이 신호탄이다. 일본은 미국이 결국 자신들의 편에 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북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선 일본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이 8.0% 아래로 내려갈 정도로 위축되고 있는 점도 일본은 잘 알고 있다. 중국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만은 못할 거라는 계산이다.
◇세계경제 충격은=앤디 셰 전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일 영유권 분쟁이 세계경제에 또 다른 충격을 주고 있다”며 “중국은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줄어드는 정도의 희생을 치를 것으로 보이지만 자동차 산업에 희망을 걸고 있는 일본은 충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경착륙, 사회 혼란 가능성도 더 커진다. 일부 시위대는 “자유·민주·입헌정치가 댜오위다오를 지킨다”는 구호를 내걸었다. 반일 시위가 중국 인민들의 불만 표출로 이어지면서 반체제 폭동으로 변할 가능성도 있다. 베이징 공안국은 웨이보(微博)에서 이성적 항의를 촉구하면서 “타인의 합법적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은 법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반일 시위 배후에 시진핑의 집권을 반대하는 세력이 존재한다고 반(反)중국 성향의 미국 사이트 보쉰(博訊)이 17일 보도했다. 다음달 중순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권력교체를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반일 시위를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날 뉴욕타임스의 보도와 비슷하다. 사실이라면 반일 시위가 중국의 정치개혁과 현대화 일정에도 차질을 줄 수 있다. 세계경제 회복에도 부담이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