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첫 일정은 ‘일자리 정책 행보’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17일 일자리 정책행보로 대선 후보로서의 첫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지지세가 약한 광주·전남 지역 방문 등 민생 행보를 하자는 제안이 많았지만 문 후보는 출마선언 때 “일자리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한 만큼 이와 관련된 목소리 듣기를 고집했다는 후문이다.
문 후보는 오전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아 참전용사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곧바로 구로디지털단지로 이동해 ‘일자리가 먼저입니다’란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문 후보는 인사말에서 “경제민주화를 만들 수 있는 방안도, 가장 좋은 복지도 결국은 일자리 창출”이라며 “역대 정부는 경제성장률을 높여 일자리를 늘리려고 했지만 이젠 반대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성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전날 수락 연설에서도 새 시대로 가는 다섯 개의 문 중 첫 번째로 일자리 혁명을 언급했다. 경선 기간 중 내놓은 1호 공약 역시 150만개의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내용이었다.
간담회에는 경제단체와 노동계 인사, 기업대표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노동 현장에서 겪었던 비정규직, 청년 실업, 경력단절여성, 정리해고 등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제언을 쏟아냈다. 문 후보는 한 시간 넘게 묵묵히 경청하고 “고용률을 기존의 60%에서 70%로, 중산층을 80%까지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지원과 비정규직의 단계적 정규직화 등을 제시했다.
노·사·정 대타협도 제안했다. 문 후보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이 어느 정도 부담을 안아야 한다”면서 “아울러 이를 해소할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 노측 역시 일정한 고통 분담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또 ‘공유가치 성장론’을 내세웠다. 그는 “기업이 단기 이익을 취하기보다 사회적 공헌을 위해 노력하고, 그것을 성장동력으로 삼는 게 공유가치 성장”이라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인 카카오톡을 사례로 들었다. 그는 “카카오톡은 처음엔 직원이 3명이었지만 이후 무료 서비스로 사회적 기여를 하면서 지금은 직원 250명으로 급성장했다. 이것이 성장 방안이고 일자리 확대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재계를 대표하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초대받지 못한 것을 놓고 ‘재벌 개혁’을 내세우는 문 후보 측이 일부러 제외시킨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에 문 후보 측은 “향후 경제민주화 정책과 관련해 따로 만날 생각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