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1000곳·활동가 3180명 육성… 서울시, 5년간 1곳당 최대 600만원 지원

Է:2012-09-12 10:15
ϱ
ũ

서울시가 2017년까지 약 1000개의 마을공동체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활동가 3000여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밑그림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마을활동가의 정치세력화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시는 11일 녹번동 국립보건원에서 박 시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시는 올해 100개를 시작으로 2017년까지 총 975개의 마을공동체 계획을 수립, 마을 1곳당 100만∼6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센터엔 마을아카데미 과정을 만들어 2014년까지 1390명, 2017년까지 총 3180명의 마을활동가를 양성한다. 활동가는 청년 900명, 여성 1200명, 은퇴자 1000명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주민들 사이에서 마을활동을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맡게 된다. 청년이 마을활동가로 팀을 이뤄 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매년 50개 팀에 1년간 각 1000만원 상당의 사업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북카페, 예술창작소, 작은도서관 등 주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다목적 모임 공간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육아지원 확대를 위해 2017년까지 56억원을 들여 돌봄공동체 70개를 만들기로 했다. 지역 내 자녀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부모 커뮤니티 및 마을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기업도 추진한다.

박 시장은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이웃의 삶을 돌보는 문화를 조성하고 시민 중심의 자치·문화·경제활동이 순환하면서 일정 수준의 자족이 가능한 삶의 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사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김동욱 교수는 “공동체 운동은 아래서부터 주민 자발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관치(官治) 아래 인위적으로 조직된 공동체는 정치세력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사업 수요가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일부 자치구에 몰릴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모집이 끝난 ‘청소년 휴(休)카페’와 부모커뮤니티사업에 강남구에선 한 곳도 지원하지 않았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