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재정지원 제한 대상 발표 이후… 충격·환호 엇갈린 대전권 대학들
교육과학기술부의 ‘부실대학’ 발표로 대전권 대학들의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
3일 대전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올해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포함된 대학들은 충격에 휩싸여 혼란이 빠졌으며, 지난해 명단에 포함됐던 3개 대학은 명단에 제외돼 안도하며 자축하는 분위기다.
대전권에서 유일하게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포함돼 자존심을 구긴 배재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교과부 발표 직후 처장급 보직교수 모두를 사퇴시키는 한편 비상대책위원회·미래전략위원회·자체평가위원회를 꾸렸다.
김영호 총장은 이날 “지역민에게 실망을 안겨 드려 학교 구성원 모두 죄송할 따름”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삼아 전 구성원이 환골탈태해 ‘제2의 창학’ 계기로 만들 것”이라고 다짐했다.
배재대 관계자는 “학과 통·폐합부터 학제 개편, 정원 조정 등 이른 시일 안에 경영 혁신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발 빠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명단에 포함된 충남 홍성의 청운대도 충격에 휩싸이긴 마찬가지다. 오는 11일까지 진행되는 수시 모집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있다. 대학 관계자는 “신입생 유치에 영향을 받을까 걱정”이라면서 “곧 구체적인 자구책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며 당황해했다.
지난해 ‘부실대학’의 오명을 썼던 대전대·목원대·중부대 등 3개 사립대는 이번에 오명을 벗어 다소 느긋한 표정들이다. 이들 대학 관계자들은 지난 1년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한 결과라고 입을 모았다. 취업률·장학금 지급률·등록금 인상 수준 등 정부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과감한 개혁을 했다는 설명이다.
대전대는 등록금 인상률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지난해 교과부의 3% 등록금 인상 지침을 지키지 않은 ‘실책’이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목원대는 취업률 높이기와 장학기금 조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교내 인력개발원을 만들어 취업 교육과 멘토링을 하는 한편 학교 차원에서 ‘학생 1명 더 취업시키기 운동’을 펼쳤다. 그 결과 40%대에 그쳤던 취업률을 올해 54%로 끌어올렸다고 대학 측은 밝혔다.
중부대 역시 평가지표 전반에 대한 향상에 주력한 결과라고 안도했다. 경찰경호대학과 사회복지학과 등 특성화된 계열의 취업률을 높이고 전임 교원을 60여명 이상 추가 확보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