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주폭 막으려는 경찰, 서울 3곳에 인력 종일 배치
경찰이 병원에서 술 먹고 행패 부리는 주취자나 범죄자를 막기 위해 서울 시내 3개 병원에 경찰관을 24시간 상주시키고 있다. 현장 치안 인력도 부족한 판에 병원에 상주 경찰관까지 투입하는 건 지나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달 31일부터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등 3개 병원에 각각 서울청 소속 경찰관 4명을 보내 한 명당 6시간씩 4교대로 24시간 상주시키고 있다.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만성 주취자들을 병원에 인계하고 병원에서 자주 발생하는 주취자들의 행패를 예방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청은 지난 6월 22일 병원협회와 ‘주취자 건전한 사회 복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고 알코올 중독 등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범죄자를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등 3개 병원에서 치료키로 했다. 대신 경찰은 병원 내 주폭을 막기 위한 경찰력을 제공하기로 한 것이다. 병원에는 의료기기 등 위험한 물품이 많아 병원 내 주폭은 의료진의 오랜 골칫거리였다.
그러나 병원에 경찰관까지 상주시켜가며 주폭들의 사후 관리까지 스스로 떠맡은 건 경찰 업무를 넘어선다는 지적이 나온다. 용역 사용 등 병원이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찰은 지난해 인력 부족과 수익자 부담 원칙을 내세우며 일반 기업에서 노사 간 충돌 위험이 발생하더라도 방지 차원에서 경찰력을 동원하진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상주 경찰관을 3개 병원에만 배치한 것은 형평성 문제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인력 여건상 모든 병원에 경찰관이 다 투입될 순 없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주취자나 노숙자들이 많이 찾는 병원 위주로 경찰관을 배치한 것”이라며 “‘주폭’과는 상관없이 추진된 사업”이라고 해명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