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무의미한 웹서핑, 지나친 정보수집… 혹시 나도 인터넷 중독?

Է:2012-08-19 18:57
ϱ
ũ

인터넷 중독 증상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하지현 교수팀은 19일 학술지 ‘중독정신의학’ 최근호에 인터넷 중독 증상을 규정하고 그 유형을 분류해 소개했다.

연구팀은 인터넷 중독의 대표적 증상으로 △낮과 밤의 구분이 모호해진다 △학업, 업무의 성과가 떨어진다 △일반적 대인관계가 줄어든다 △가상현실 속 관계를 더 신뢰한다 △인터넷 사용 시간을 허위로 말한다 △착시나 환시로 게임 상황을 체험한다 △폭언과 공격적 행동이 많아진다 등을 규정했다.

연구팀은 인터넷 중독자의 문제행동들을 토대로 그 유형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먼저 ‘웹서핑형’ 중독자다. 장시간 무의미한 웹서핑을 계속하는 유형이다. 웹상에서 불필요한 정보까지 검색하다 보니 업무의 효율성 등에 문제가 나타난다.

‘관계집착형’ 중독자들은 인터넷상에서 동호회 활동, 개인 홈페이지, 미니홈피 등을 만들어 운영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대인관계의 중심이 인터넷 가상현실에 있다 보니 가상과 실제를 혼동하며, 실제 현실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 실망하거나 좌절할 위험도 커진다.

‘게임형’ 중독자들은 게임을 즐기며 이로 인해 문제행동이 나타난다. 최근 다중접속 롤플레잉 게임이 대중화되면서 시간제한 없이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며 아이템 구입 등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어 더욱 문제가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정보수집형’ 중독자들은 업무나 학업을 위한 정보를 모을 때 지나치게 많은 양의 정보를 취합한다. 정보 습득 행위 자체에만 몰두해 시간을 할애하다 보니 실제 업무 효율이 떨어진다. 강박관념, 완벽주의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섹스, 동영상 중독’은 성적인 만족을 얻기 위해 가상공간에서 성적인 대화를 하거나 성인 음란물을 감상하는 데 지나치게 집착하는 유형이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인터넷 중독 유형 분류에 초점을 맞춘 것에 대해 “인터넷 사용 시간의 많고 적음보다 부적응 행동의 유형을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 증상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