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돈, 불가분의 함수] 공천헌금 요지경… 현금-금배지 빅딜 사건

Է:2012-08-17 22:59
ϱ
ũ
[정치와 돈, 불가분의 함수] 공천헌금 요지경… 현금-금배지 빅딜 사건

총선 때마다 여의도 정가에선 “어느 당 비례대표는 몇십억원을 내고 들어왔다더라”거나 “그 비례는 누구 끈을 잡고 왔다”는 얘기가 떠돈다. ‘돈 내고 금배지 산다’는 말도 정설처럼 받아들여진다. 이유는 간단하다. 유권자들에게 직접 선택받는 지역구 의원에 비해 비례대표 의원 선출 절차가 너무도 ‘심플’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들은 정당마다 10인 안팎의 인사로 구성된 공천심사위원회와 최종 결정권을 가진 지도부 회의를 거쳐 결정된다. 공심위원과 지도부 몇 명만 ‘구워삶으면 된다’는 생각에 돈으로 금배지를 사려고 시도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4·11 총선 돈 공천 의혹이 2012년 정치판을 연일 흔들고 있다. 새누리당은 당에서 ‘헌금’을 받고 의원 배지를 사고판 조직적인 범죄가 아니라 개인의 뇌물 사건이라 주장하며 거리를 두고 있지만 충격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번 의혹의 핵심은 부산 친박계 인사로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뒤 공천심사위원으로 임명된 현기환 전 의원에게 현영희 의원이 공천을 받기위해 거액을 건네려 했다는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서 현 의원이 계획적으로 돈을 뿌리려 했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현 의원 캠프의 여성 자원봉사자가 다른 선거운동원들과 ‘현기환이나, 홍준표에게 돈 쓰고 있냐’는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실제 지난 3월 공천 작업이 한창일 당시 새누리당 부산·경남 지역 공천 신청자들 사이에선 “이 지역에서 공천 받으려면 적어도 한번은 현 전 의원을 만나야 한다”는 얘기가 돌았다. 한 정치권 인사는 17일 “모든 공천 신청자가 돈이나 선물 공세를 펼치는 것은 아니지만, 실세 공심위원을 만나기 위해 온갖 연줄을 동원하는 게 사실”이라며 “18대 총선 창구가 이방호 사무총장이었다면 이번엔 현 전 의원이 창구로 통했다”고 했다. 공심위원 중에서도 특히 영향력이 센 인사에게 로비가 집중된다는 얘기다.

그동안 정치권에서는 공천 기준을 계량화하는 등의 개혁 방안이 많이 논의됐지만 의정활동을 수치로 평가하는 게 어렵다는 점에서 번번이 논의가 무산됐다. 그러다보니 결국 공심위원의 ‘품평’ 판정을 거쳐 공천이 결정됐고, 늘 주먹구구식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경남(PK)은 대구·경북(TK)과 마찬가지로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공천 신청자도 많았고, 그만큼 로비도 치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도권과 달리 ‘공천=당선’이라는 등식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부산지역 한 의원의 보좌관 이모씨는 “‘돈질’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지역에 내려가 보니 여전하더라”며 “어떻게든 줄을 대서 공심위원에게 손을 쓰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의원 공천도 비슷하다. 앞자리 순번을 공천 받는 순간 사실상 당선이 확정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눈에 띄는 유명인이나 전문 분야 인사를 제외한 나머지 비례대표들을 둘러싼 공천 잡음이 적잖다. 이번에 공천에 탈락한 한 인사는 “현 전 의원 말고 또 다른 공심위원과 친박계 인사에게 20억원을 주고 비례에 당선됐다는 얘기도 있다”고 주장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