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전상용·이인현 교수팀, 금 나노입자 활용한 항암백신 개발
아주 작은 금 알갱이를 이용해 암을 제어하는 항암백신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전상용(왼쪽 사진) 교수와 이인현(오른쪽) 박사 연구팀이 지름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으로 작은 금 나노입자 표면에 암 모델항원(RFP)과 면역보조제를 결합한 금 나노 항암백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일반적인 항암백신은 암세포 조각을 이용해 면역세포를 환자의 체외에서 활성화시킨 뒤 이를 혈액으로 주사해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이 방법은 제조 단계가 복잡하고 비싼 데다 백신이 목표 지점에 도착했는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금 나노 항암백신은 면역세포가 모여 있는 림프절로 직접 이동해 항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또 X선이나 CT(컴퓨터단층촬영) 같은 영상기기로 위치 추적이 가능해 항암백신이 목표한 조직에 잘 전달됐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금 나노 백신이 암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암의 성장과 전이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전상용 교수는 “복잡한 과정 없이 면역세포를 쉽게 활성화할 수 있어 암뿐만 아니라 치료가 어려운 바이러스성 질환 치료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화학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7월호에 실렸으며 상위 5% 이내 논문에 수여하는 VIP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이영미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