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팔리는 제품 올리고 안 팔리는 제품 내리고… 식품업계 ‘가격 꼼수’
식품업계가 대표 제품 가격은 올리고 안 팔리는 제품은 내리는 ‘꼼수’를 쓰고 있다. 정부는 부당이익 환수 등 가공식품 가격 편법 인상에 강력한 제동을 건다는 방침이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등 주요 제품 10개의 출고가를 일제히 인상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매출 비중이 작은 델몬트 스카시플러스, 데일리C비타민워터 등 6개 품목은 가격을 내렸다. 롯데칠성 측은 전체 매출 기준으로는 인상 효과가 3%에 그쳐 가격 인상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이다.
농심도 최근 새우깡의 가격을 900원에서 1000원으로 100원 인상했다. 인상률은 11%에 달한다. 매출 비중이 높은 칩포테이토와 수미칩 출고가도 각각 50원, 100원 인상했다. 반면 시장 비중이 미미한 콘스틱과 별따먹자 값은 60원씩 내렸다. 연평균 600억∼700억원 사이인 새우깡 가격을 10% 넘게 올리며 매출 규모로는 비교가 안 되는 2개 제품 가격을 같이 내린 것이다.
삼양식품도 최근 라면값을 올리며 삼양라면과 수타면 등 대표 제품값만 올렸고, CJ제일제당도 햇반과 다시다 등 일부 제품만 가격을 조정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제품 가격을 올리면 어느 정도 비판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왕이면 대표 제품 가격을 인상해 내실을 챙기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7월 말 이후 폭염에 따른 농산물 가격 인상과 일부 가공식품 가격 조정 등으로 식탁물가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며 단호하게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박 장관은 “서민경제가 어려운 마당에 가공식품 가격을 올리면 소비가 더욱 위축돼 기업 매출이 떨어지는 만큼 기업이 가격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일부 대형 유통업체가 생필품 가격을 3개월간 동결하기로 한 것은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며 가공식품업체와 여타 유통업체로 확산되기를 기대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