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채 ‘위험 수위’… 가계빚 이어 한국경제 뇌관으로
가계부채에 이어 기업부채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기업의 부채 규모는 2008년부터 국내총생산(GDP) 총액을 넘어섰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갈수록 실적이 나빠지고, 빚 갚을 능력도 떨어지면서 기업부채는 우리 경제에 ‘치명적 독’이 되고 있다.
7일 보험연구원의 ‘가계, 기업, 정부 부채의 국가별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기준 국내 기업부채는 국내총생산의 107%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기업부채 수준이 GDP 대비 90%를 웃돌면 GDP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리양(李揚) 중국 사회과학원 부원장은 지난 3일 중국 상업은행 경쟁력평가 보고회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기업의 채무비율 위험 마지노선은 GDP의 90% 수준”이라고 강조했었다.
GDP 대비 국내 기업부채는 이미 2008년 이후 꾸준히 100%를 넘어서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GDP 대비 부채는 2004년에는 78%로 안정적이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107%까지 한 번에 치솟았고, 이후 꾸준히 100%를 상회하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로 기업의 재무건전성은 더욱 나빠지고 있다. 수출과 내수가 동시에 침체된 탓에 영업 실적이 축소되고, 부채 상환능력까지 떨어지는 악순환에 빠져들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616곳의 이자보상배율이 지난해 말 4.67배로 2010년 말(5.51배)보다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부채 상환능력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올 들어 자금 운용을 위해 각종 비유동자산을 내다 파는 기업들이 지난해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기업 20곳이 비유동자산 처분·매각을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비유동자산 처분을 공시한 기업은 11곳이었다.
공시 내용을 보면 각 기업은 토지·건물 매각은 물론 시설관리권이나 건축물 내장 기계설비, 컴퓨터와 프로젝터까지 내다 팔고 있다. 기업 자산총액을 넘어서는 비유동자산 처분 공시도 있다. 대부분의 처분 목적은 ‘차입금 상환’ ‘손익구조 개선’ ‘재무건전성 확보’ 등으로 표기돼 있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기업부채 수준은 이미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라며 “가계부채뿐 아니라 기업부채도 함께 재정위기의 발생 요인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