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복되는 대통령의 참담한 대국민 사과

Է:2012-07-24 18:45
ϱ
ũ

악순환 고리 끊을 특단의 대책 세워야

이명박 대통령이 오늘 친인척과 측근 비리 문제로 국민 앞에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예고 없던 기자회견을 갖고 “근자에 제 가까운 주변에서, 집안에서 불미스러운 일들이 일어나 국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드렸다”면서 “모두가 제 불찰이다. 어떤 질책도 달게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이 구속된 지난 10일 이후 2주일 만에 나온 대국민 사과다.

이 대통령은 “생각할수록 억장이 무너져 내리고 차마 고개를 들 수 없다”고 심경을 토로했으나 이를 지켜본 국민들의 심사도 참담하기는 마찬가지다. 2007년 대선 당시 국민들이 이 대통령을 압도적으로 지지한 이유 가운데는 그가 굴지의 기업 경영자 출신으로 재산이 충분하고 친인척들도 중진 정치인에 자산가들이어서 비위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라는 기대감도 포함돼 있었다. 이 대통령 스스로도 지난해 9월 확대비서관회의에서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이어 이 전 의원이 구속됐고,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도 검찰에 소환됐다. 기대가 무너진 국민들의 상실감과 배반감은 그래서 더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우리 국민들은 정권마다 마치 천형(天刑)이라도 되듯 대통령들의 참담한 사과를 지켜보는 곤욕을 치러야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7년 2월 한보 비리에 연루된 아들 김현철씨와 관련해 “아들의 허물은 곧 아비의 허물”이라며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2002년 3월 최규선 게이트와 세 아들들의 비리에 대해 사과 성명을 냈고, 3개월 뒤 국민 앞에 나서서 사과문을 읽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3개월 만인 2003년 5월 생수회사 장수천 투자 문제에 대해 사과했고,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비자금 수수와 경제부총리 및 교육부총리 사퇴와 관련해 각각 머리를 숙였다. 2006년에는 사행성 오락 ‘바다이야기’ 비리에 조카가 연루된 사실이 밝혀지자 또다시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하면서 “개탄과 자책만 하고 있기에는 나라 안팎 상황이 너무 긴박하고 현안 과제가 너무 엄중하고 막중하다”면서 제갈량의 출사표에 나오는 사이후이(死而後已·죽은 후에야 멈춘다)를 인용해 마지막까지 국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하지만 가뜩이나 국정 장악력이 떨어지는 임기 말에 주변 비리로 도덕성마저 훼손된 대통령이 제대로 나라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기대하는 국민들은 거의 없다. 그래서 심경이 더 무겁고 허탈하다.

이제 국가 최고지도자의 주변이 부패와 비리에 오염돼 국정에 차질을 빚고 국민들에게 자괴감을 안겨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가 됐든 상설특별검사제나 특별감찰관이 됐든 혹은 사면권 제한이든,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대통령이 주변 비위로 대국민 사과를 하는 참혹한 광경은 이번이 끝이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