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정은, 先軍 버리고 先民 택하라
북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확실히 단정할 순 없지만 미묘한 변화의 흐름이 잡히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변화의 중심에 있어 북한이 개혁·개방 속도를 높일지 주목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9일 “김정은은 군부가 주도한 약탈경제 구조를 노동당과 내각이 장악하지 않으면 어떤 경제 발전도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이영호 인민군 총참모장을 제거한 것도 군부의 경제 이권을 박탈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숙청의) 종주곡이 아니라 서곡”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선군(先軍)정치의 핵심인 신군부 인사들에 대한 숙청작업을 벌일 것으로 본 것이다.
그동안 북한 군부가 외화벌이의 70%가량을 싹쓸이하는 과정에서 핵심 인사들이 엄청난 자금을 착복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김정은이 경제관료 출신인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 등을 내세워 경제 회생에 걸림돌로 작용한 군부 실세들의 거세에 나섰다는 것이다. 김정은이 “소중한 인민의 허리띠를 다시는 졸라매지 않겠다” “내겐 총알보다 쌀알이 더 소중하다”고 강조한 것도 경제 회생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해석된다. 아사자가 속출하고 주민 600만명이 굶주리는 실상을 방치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북한판 ‘소녀시대’ 공연을 전 주민에게 방영하고, 30개국 38개 도시에 무역대표부를 신설해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는 점도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또 중국에서 성공한 농촌 모델로 꼽히는 장쑤(江蘇)성 화시(華西)촌에 노동당 간부들을 파견한 것도 북한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변화를 두고 김정은이 선군정치를 기피한다고 예단하기는 어렵다. 선군정치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군노선과 거리를 두고 있다고 추론할 수는 있다. 김정은은 군부 강경파가 주도하는 선군노선을 버리고 선당(先黨) 노선을 징검다리로 삼아야 한다. 결국에는 선당을 넘어 주민과 경제를 우선시하는 선민(先民)·선경(先經) 노선을 택하기 바란다. 그것이 남북 대결을 끝내고 화해·공존의 장으로 가는 첩경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