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 무덤 된 저축銀 비리] ‘7월 중 수사 종료’ 힘들어졌다
저축은행 비리 수사가 대통령 친인척, 청와대 인사, 국세청 및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들까지 전방위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검찰이 애초 세웠던 ‘7월 중 수사 종료’ 계획도 사실상 힘들어졌다.
검찰에게 김희중 청와대 제1부속실장은 ‘뜨거운 감자’다. 김 실장은 임석 솔로몬저축은행 회장에게 억대의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지난 13일 사의를 표명했다. 검찰 관계자는 15일 “(김 실장의 금품수수와 관련한) 진술이 나오거나 수사로 확인된 바 없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김 실장은 수사 흐름상 중요 인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부속실장이 ‘문고리 권력’인 데다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경위 파악에 나선 만큼 검찰도 조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검찰의 소환 대기 명단에는 김세욱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도 올라 있다. 김 전 행정관은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에게 1㎏짜리 금괴 2개(약 1억2000만원)를 받은 의혹이 있다.
검찰은 또 세무조사 무마 청탁과 함께 한국저축은행 돈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전직 세무서장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 과장급 간부도 부실저축은행 퇴출 명단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돈을 수수한 정황이 나와 이미 조사를 받았다.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에 대해선 다음 달 3일 임시국회가 끝나는 대로 구속영장을 재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검찰 고위관계자는 “불구속 기소할 거였으면 애초 영장을 치지도 않았다”며 “자금 사용처 부분의 수사를 위해서도 (영장 청구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당초 불구속 기소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체포동의안 부결 이후의 정 의원 발언과 정치권 상황 등이 고려되면서 분위기가 다시 바뀌고 있다.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의 경우 아직 소환하기엔 검찰의 준비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로서는 민주당이 16일 대검찰청을 항의 방문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는 것도 부담이다. 이 관계자는 “정두언 의원 문제를 포함해 여러 변수가 생겨 이달 중 수사 마무리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