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중에 건설노조도 6월 27일 파업… 임금체불 해소 등 요구

Է:2012-06-26 19:02
ϱ
ũ

화물연대에 이어 건설노조가 27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건설업계는 당장 큰 피해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전국건설노동조합은 27일 오전을 기해 모든 사업장에서 업무를 중단하고 파업에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 파업 참가 인원은 건설노조 조합원 2만9000명 중 2만여명이며, 이는 200만명으로 추산되는 국내 건설노동자 가운데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이들은 각 지역별로 집회를 가진 후 28일 서울시청에 모여 결의대회를 가질 계획이다.

장형창 건설노조 교육선전국장은 “임금체불 등 18개 요구안이 받아들여질 때까지 파업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2007년 949억원이던 건설현장 일용노동자 임금체불은 지난해 1660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여건은 더 열악해졌다.

건설노조가 파업에 돌입해도 단기간 내에는 건설현장에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전국에 정식 등록된 영업용 건설기계 21만7000대 중 건설노조 기계분과에 소속된 건설기계는 2만1000여대로 전체의 10% 정도에 불과하다. 건설사들이 보유한 자가용 건설기계도 16만대가량 있어 무리는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화될 경우 대체 인력 및 장비 투입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상황실을 별도로 설치하고 자재 및 대체 인력 확보 방안을 마련 중이다. 국토해양부도 25일부터 상황실을 설치하고 동향을 파악 중이다.

한편 택배업계도 7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인 자가용 화물자동차 유상운송행위에 대한 지자체의 신고포상금제(일명 ‘카파라치’ 제도) 시행을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물류업계를 대표하는 한국통합물류협회는 26일 “카파라치제도 시행에 반대하는 전국 택배기사 연대서명서를 청와대, 국토해양부, 서울시, 경기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유상 영업활동은 불법이지만 전국 3만대의 택배 차량 중 1만4000여대가 자가용 화물자동차인 것이 현실이다. 이는 정부가 2004년 화물차를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변경하면서 신규 허가를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택배업계는 그간 인터넷 쇼핑 활성화 등으로 택배 물량이 비약적으로 늘었기 때문에 불법 영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정부도 그동안 묵인해 왔다.

한국통합물류협회 관계자는 “카파라치 제도가 시행되고 단속에 두려움을 느낀 자가용 택배 기사들이 현장을 이탈한다면 막을 방법이 없다”면서 “파업과 같은 집단행동은 하지 않겠지만 택배가 마비되는 사태가 올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