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생산성주도형으로 변화”
우리 경제가 2006년부터 노동과 자본 등에 의존하는 요소투입형에서 생산성주도형으로 변화됐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자본축적 둔화 등으로 요소투입의 지속적인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향후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됐음을 시사하는 분석이다.
조태형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팀장은 한 나라의 물질적 생활수준은 생산보다 소득과 관련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 1980년 이후 우리나라 실질소득의 증가 요인을 분해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30년간 실질소득의 증가는 노동과 자본의 투입 증가로 대부분 설명이 가능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는 생산성 증가가 소득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분석에서 사용한 소득 증가 요인 분해모형은 1980∼2010년 우리나라의 소득 증가를 노동 및 자본 투입, 생산성, 교역조건, 감가상각 등의 요인으로 분해한 것으로 전통적인 성장 분해모형을 확장한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실질총소득이 연 3.41% 증가한 가운데 생산성 증가의 기여도는 2.04% 포인트로 요소투입 증가에 의한 기여도 1.68% 포인트를 웃돌았다.
한편 이 기간 중 우리나라의 실질순소득이 연평균 6.02% 증가한 가운데 감가상각은 실질순소득을 1.3% 포인트 감소시킨 것으로 추정됐다.
교역조건 악화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실질소득의 증가를 제약해 왔으며, 토지와 재고의 영향은 미미했으나 이를 제외할 경우 생산성의 기여가 과소 추정되고 자본 투입의 영향이 과다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용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