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수사로 드러난 고리원전 1호기 정전사태… 매뉴얼 무시한 채 핵연료 인출 ‘총체적 안전불감증’

Է:2012-05-31 00:21
ϱ
ũ
檢수사로 드러난 고리원전 1호기 정전사태… 매뉴얼 무시한 채 핵연료 인출 ‘총체적 안전불감증’

고리1호기 ‘블랙아웃’(대정전) 위기 사고 은폐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 안전관리 시스템상의 허점이 빚어낸 인재(人災)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특히 지난 2월 9일 오후 8시34분부터 12분간 진행된 정전사고 당시 비상디젤발전기가 고장 난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운영기술지침서를 무시한 채 핵연료 인출을 강행했다.

◇온통 안전 불감증=검찰에 따르면 원자로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바로 가동돼야 하는 1호기 비상디젤발전기는 정전사고 당시 고장 난 상태였다. 공기공급장치인 솔레노이드밸브의 고장 때문이었다.

운영기술지침서상 비상발전기를 즉시 수리해야 하는데도 이들은 2월 13일부터 예정된 정기점검 때까지 5일간 고장을 방치했다. 고장수리 자료가 남아 정전사실이 알려질 것을 우려해서였다.

따라서 불구속 기소된 문모(55) 전 제1발전소장 등 당시 간부들은 비상디젤발전기 고장 상태에서 핵연료 인출 작업을 강행했다. 1년에 한 번꼴로 진행되는 교체작업을 갑자기 안 할 경우 의심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사고 다음날인 10일과 11일 비상디젤발전기 2대 모두 운전 불능인 상태였지만 다 쓴 핵연료봉을 꺼내 보관소로 운반했다.

핵연료를 원자로 밖으로 인출할 때는 잔열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이송과정에서 계속 냉각시켜줘야 해 외부전원 1개를 기본 원전으로 하고 비상디젤발전기 전원도 필요했다. 검찰은 “전원공급이 중단됐다고 당장 노심 용융이 일어나는 건 아니지만 운전원의 조작 실수 등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비상전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4시간 원전 상태를 감시하는 아톰 케어(ATOM CARE) 시스템도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톰 케어 시스템은 모든 원자력발전소 호기별로 원자로 온도, 전력공급상태 등 주요 변수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지만 비상시 경보발령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고리1호기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만 267가지이고, 당시 정전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도 저장돼 있었다. 그러나 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아 사고 발생 사실을 당시 바로 알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반핵단체 반발 확산=기장군·경주시·영광군·울주군·울진군 등 5개 시·군 의회로 구성된 ‘원전 소재 시·군의회 공동발전협의회’(회장 김일헌 경주시의회의장)는 30일 기장군의회에서 모임을 갖고 ‘고리1호기 폐쇄’를 촉구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도 “고리1호기 폐쇄와 함께 시민단체·전문가 참여 등 감시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