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연 ‘기독교 때리기’ 막을 교계 대응책 시급

Է:2012-05-30 18:31
ϱ
ũ
종자연 ‘기독교 때리기’ 막을 교계 대응책 시급

종교자유정책연구원(종자연·공동대표 박광서)이 법 규정과 여론을 앞세워 한국교회를 종교폭력 집단으로 매도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기독교 때리기를 계속해왔지만 정작 교계 연합기관들은 그 실태 파악조차 못한 채 허둥대왔다는 비판이 교계내에 강하게 일고 있다.

◇“종교교육은 위법” 전방위적 기독교 때리기=참여불교재가연대 부설단체인 종자연은 여론 조사, 정보공개 요청, 항의공문 발송, 소송, 인권위 진정, 헌법소원, 감사관실 질의, 모니터링 교육 등 전방위적 방법을 동원해 종교편향 문제를 이슈화시켜온 것으로 드러났다.<표 참조>

종자연이 기독교를 향해 포문을 연 것은 2005년이다. 교육부에 공립학교 내 종교금지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고 대광고 사태처리에 문제가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에 정보공개를 요청했다. 이후 종자연은 강의석씨가 대광고와 서울시교육청을 상대로 낸 ‘학교종교자유 침해 손해배상 소송’을 도맡다시피 해 ‘종교 강요는 위법’이라는 대법원 판결을 받아냈다.

그 뒤에도 종자연의 활동은 치밀했다. 2006년부터 학내 종교편향 사례를 수집하고 전국 법대교수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학내 종교활동은 위헌”이라는 논리를 만들어냈다. 종자연은 이 논리를 토대로 학내 강압적 종교교육이 문제있다는 주장을 집요하게 제기했고 서울시교육청은 2006년 4월 학생의 종교자유를 보장하라는 종교관련 장학지침을 내렸다.

◇공직자 종교차별 제기로 불씨 더 키워=2007년부터 종자연의 기독교 옥죄기는 교육분야에서 공공기관으로 확대된다. 종자연은 종교시설 내 투표소 설치 전면금지 헌법소원을 냈고 국가인권위원회 에도 진정을 냈다. 교회에 투표소가 다수 설치되는 관행을 문제삼은 것이다. 결국 2004년 980여개 교회에 설치됐던 투표소는 2010년 17개로 대폭 감소됐다.

종자연의 공세는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 더 거세져 2008년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 공직자가 종교적 신념을 드러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공직자 종교편향 논란의 불씨를 키웠다. 공정택 전 서울시교육감을 상대로는 공무 중 기도회에 참석했다며 헌법소원을 청구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그해 10월 공직자 종교차별 신고센터를 설치했다. 종자연은 2010년엔 서울시교육감후보 8명을 불러 학내 종교자유 보장 서약을 받아냈고, 당진군합창단이 기독교 음악 앨범을 녹음했다며 충남도 감사관실에 질의서를 접수시키기도 했다.

◇지방 미션스쿨, 개 교회 문제까지 관여= 종자연은 지방의 미션스쿨과 개 교회 문제까지 손을 뻗쳤다. 종자연은 2011년 2월 전주 신흥고가 ‘학교 기독교 교육프로그램에 동참한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받은 사실을 문제삼았다. 또 12월 사랑의교회가 서초구로부터 건축인허가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며 주민감사를 서울시에 청구했고 서울시는 지난달 감사에 착수했다.

◇기독교계 대응은 미흡=종자연의 기독교계 때리기가 무차별적으로 이뤄져왔는데도 기독교계의 대응은 한심하기 이를데 없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등 교계 연합기관은 대응전략은 고사하고 종자연의 실체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한기총의 한 관계자는 “그런 단체가 있는 줄 몰랐다. 문제가 있다면 불교계에 공식적으로 제기 하겠다”고만 밝혔다. NCCK도 “종자연에 대한 얘기는 들었다. 내부에서 논의된 바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전병금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대표회장은 “이 문제는 종교 간 갈등을 촉발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면서 “한국교회가 종자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NCCK 등 여러 연합기관이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