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징용자 배상 판결 이후] 2010년 본보 ‘日 전범기업 추적’ 시리즈 다시 주목

Է:2012-05-25 21:38
ϱ
ũ
[일제 징용자 배상 판결 이후] 2010년 본보 ‘日 전범기업 추적’ 시리즈 다시 주목

국민일보는 경술국치 100년을 맞이한 2010년 ‘잊혀진 만행, 일본 전범기업을 추적한다’ 시리즈를 3월 1일부터 매주 1회씩 총 18회 보도했다. 일제시대 강제동원 문제 가운데 징병이나 군 위안부에 비해 관심이 덜했던 전범기업들의 민간인 징용에 초점을 맞춘 국내 언론 최초의 탐사보도였다.

일제시대 미쓰비시 같은 일본 기업들이 징용해 노예처럼 부린 한국인은 연 인원 600만∼700만명, 이 가운데 숨진 사람만 10만∼20만명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세계적 대기업으로 성장한 이들 전범기업은 단 한 차례도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거나 배상하지 않았다.

국민일보 취재팀은 생존자들에 대한 인터뷰와 강제징용 현장 취재, 방대한 기록 및 자료검토를 통해 전범기업의 추악한 과거를 고발했다. 일본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아키타, 큐슈, 나가사키까지 그리고 남태평양 군도 등 징용의 흔적이 남은 곳을 직접 찾았고, 해방 이후 구소련에 억류돼 돌아오지 못한 러시아 사할린 징용자들의 사연도 취재했다. 국내에서도 징용의 아픈 역사가 남아있는 전남 여수시 거문도와 해남 등 남도 지방을 다니며 그 흔적들을 생생하게 지면에 담았다. 우리 정부기관과 국내외 시민단체들과 협력해 피해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했고, 진상규명과 배상을 위한 피해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을 보도했다.

취재를 통해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토모 등 현존하는 일본 대기업들이 강제 노무동원의 주범이며 역사적·법적·도의적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났다. 이들 기업은 명백한 증거자료와 수많은 피해자들이 존재하는데도 강제동원 사실을 부인했고 사죄도 하지 않았다. 심지어 미지급 임금조차 돌려주지 않았다.

반향은 컸다. 일본과 중국의 현지언론은 국민일보의 취재 자체에 관심을 갖고 보도했다. 일본 아사히신문과 무로란민보는 ‘한국 전국지 기자가 강제연행 문제를 취재했다’는 제목으로 국민일보의 취재사실을 보도했다. 중국 텐진 취재 때는 텐진방송에서 직접 취재현장을 찾아와 국민일보 기자를 인터뷰하고 시사프로그램에 방영했다. 국내에서는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노근리 평화상, 삼성언론상, 한국신문상 등 굵직한 상을 잇따라 받았다.

대법원의 24일 판결로 국민일보가 제기한 일본 전범기업의 책임 문제는 최종결론이 났다. 하지만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배상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우리 정부와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송세영 기자 sysoh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