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이명균 교수팀, 130만 광년 거리 ‘구상성단’ 발견
국내 연구진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먼 구상성단(球狀星團)보다 3배 이상 멀리 떨어진 구상성단을 발견했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명균 교수팀은 큰곰자리(북두칠성의 오른쪽 위) 방향에 있는 나선은하인 M81 주변에서 구상성단 2개를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구상성단은 수십만개 이상 별들이 축구공처럼 뭉쳐있는 것이다. 나이가 빅뱅으로 시작된 우주(약 137억년)와 비슷하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천체의 형성 과정을 밝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 구상성단은 대부분 은하의 중심부에 있으나 일부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다. 태양계가 속한 은하에서만 약 160여개가 발견됐다. 이 교수는 “발견한 2개의 구상성단 중 JM81GC-2는 우리 은하 중심과 130만 광년 떨어져 있다”며 “그동안 가장 멀리 떨어진 구상성단(40만 광년)보다 3배 이상 멀리 떨어져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 구상성단의 나이는 100억년 이상으로 일반적인 구상성단에 비해 15배 이상 밝고 3배 가까이 큰 것이 특징이다. 이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구상성단은 우주에서 최초로 태어난 천체 중 하나이므로 이를 통해 우주 초기 천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천문학 분야 권위지인 ‘천체물리학저널’ 20일자에 게재됐으며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별도로 발간되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에 발표됐다.
임항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