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수돗물 약품 사고 ‘쉬쉬하다 피해 키웠다’
광주광역시 수돗물 오염 사고는 정수장 근무자들이 자체 해결하려다 피해를 더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 상수도사업본부는 14일 수돗물 오염 사고와 관련해 당시 정수장 근무자들이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서 경보가 울리자 자체 해결을 하려다 상부 보고 등이 늦어졌다고 밝혔다.
수돗물 pH가 기준치 5.8∼8.5 이하인 5.5로 떨어지면서 경보가 울린 시각은 지난 12일 낮 12시34분으로 확인됐다. 알람이 울리자 시험실 직원 2명은 떨어진 pH를 중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인 소석회를 긴급 투입하는 등 자체 해결에 나섰다. 4시간 동안 소석회 800여㎏이 투입됐다. 이 과정에서 수도와 전기 등 주요 시설의 사고 발생 시 대응체계를 규정한 매뉴얼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사업본부 관계자는 “확인 결과 근무자가 산성도가 높아진 물을 중화하려고 소석회를 넣었지만 중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응집제가 이미 수시간 투입돼 pH가 5.2까지 떨어지는 등 상태가 악화되자 사고 인지 5시간이 지난 오후 6시15분 강운태 시장을 포함한 상부에 이를 보고했다는 것이다.
광주=이상일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