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사실상 재총선 체제 돌입… 재선땐 ‘反긴축’ 급진좌파가 제1당 가능성
그리스가 사실상 6월 17일 재총선 체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재총선에선 유럽의 구제금융 대가인 긴축정책에 반기를 드는 정당들이 더욱 인기를 끌 전망이다. 그리스가 출범 13년 만에 유로존(유로 사용 17개국) 탈퇴 1호를 기록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유럽의 중앙은행 총재들도 공공연히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밝히고 있다.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그리스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신민당, 시리자, 사회당 등 3당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비상회의를 열어 연정 구성 방안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특히 협상이 끝난 뒤, 급진좌파인 시리자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대표는 “구제금융을 대가로 강력한 긴축 수단을 강제하려는 연립정부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더 이상의 비상회의 참여는 없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연정 협상은 14일 속개됐지만 새 총선이 불가피한 것으로 현지 언론은 분석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시리자가 이번 총선에서 일약 2당으로 올라선 데 이어 새 총선에서 1당이 될 가능성이 높다. 국민들의 반(反) 긴축 정서를 업고 갈수록 지지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반긴축은 범 유럽 정서가 되고 있는 형국이다. 13일 치러진 독일 지방선거에서도 긴축을 주도했던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기민당이 참패했다. 독일 최대 선거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州) 선거에서 사민당과 녹색당은 각각 39.1%와 11.3%를 득표했다. 이른바 ‘적-녹 연정’이 소수당을 포함하지 않고도 연정 구성이 가능한 과반 득표에 성공한 것이다. 기민당은 2010년의 34.6% 득표율에서 크게 하락한 26%에 그쳤다.
그러나 그리스가 반긴축을 고집할 경우 이는 디폴트와 유로존 탈퇴로 이어질 수 있기에 그 파장이 간단치 않다. 유럽연합은 이미 지난주 지급키로 했던 52억 유로의 구제금융 중 10억 유로의 집행을 유보해 그리스에 경고를 보냈다. 유럽재무장관들은 14일 밤 12시(한국시간) 브뤼셀에서 회동을 갖고 그리스 문제 논의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최근 유럽 중앙은행장들이 잇달아 “그리스 유로존 탈퇴는 가능하다”고 밝혀 그 배경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유럽중앙은행(ECB) 이사인 뤽 벨기에 중앙은행장은 13일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유럽의 이익에는 좋지 않지만 불가능한 건 아니다”고 말했다. 페르 잰슨 스웨덴 중앙은행 부총재는 한술 더 떠 “유럽의 중앙은행들이 그리스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열어놓고 그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이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점점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