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Korea’… 스마트폰 이용자 절반 넘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 2009년 11월 국내에 애플의 아이폰이 들어오면서 스마트폰 열풍이 시작된 지 2년6개월 만이다.
1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현재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2672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5255만명의 50.84%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이동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 가입자 2650만명 중에서 50.18%에 해당하는 1330만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T 가입자 1650만명 중 53.33%인 880만명이, LG유플러스의 가입자 955만명 중 48.37%인 462만명이 스마트폰 사용자였다.
KT가 아이폰을 도입한 2009년 11월 47만명에 그쳤던 스마트폰 사용자는 작년 3월 1000만명을 돌파했고 그 이후 불과 7개월 만에 2000만명을 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갔다.
국민 2명중 1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석제범 방송통신위원회 통신정책국장은 “스마트폰 대중화는 개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 전반에 일대 변혁을 몰고 왔을 뿐 아니라 기업의 업무를 혁신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등 산업전반에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은 실시간 정보검색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성화로 일 대 다(1:N)의 정보공유를 가능케 한다. 사회 구성권 간 의사전달과 여론형성이 쉬워지고 그 속도도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 SNS가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갈수록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 확산은 기존 서비스 중심의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을 플랫폼, 단말기 중심의 시장 구조로 변혁을 몰고 왔다. 통신서비스의 중심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통신사업자들은 LTE 망 구축, 와이브로·와이파이 등 보완망 증설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클라우드컴퓨팅, 사물통신(M2M),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ICT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금융, 유통,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통한 SNS의 이용 확산은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야기하고 개인의 사생활 노출 위험을 높이는 등 부작용도 함께 가져왔다. 친밀하고 깊은 대인관계를 갖기보다 스마트폰만 끊임없이 만지작거리는 중독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신종수 기자 js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