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려되는 전력 보릿고개, 만반의 대비를

Է:2012-05-11 17:42
ϱ
ũ

올 여름 ‘전력 보릿고개’가 팍팍할 전망이다. 아직 5월인데 더위 때문에 전력 수요가 급증한 반면 발전소 사고와 정비 등으로 전력 공급은 떨어져 예비전력이 위험 수위에 근접했다. 무더운 여름철 전력 수요를 줄이지 못하면 지난해 9월 턱밑까지 닥쳤던 대규모 정전 사태(블랙아웃)가 우려된다.

이달 들어 최대 전력수요는 173만㎾나 늘어났다. 반면 고리 1호기와 울진 4호기, 신월성 1호기 원전이 고장으로 정비 중이고, 보령 화력발전소 1·2호기도 화재 때문에 가동이 중단돼 전력생산능력은 400만㎾가량 감소했다. 이 때문에 예비전력이 비상조치가 필요한 400만㎾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본격적인 여름에 들면 전기소비는 작년보다 5%가량 늘 전망인데 발전소들의 가동 여부는 불투명해 전력난이 가중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이에 지식경제부는 지난 10일 에너지 다소비 업종 기업에 절전 협조를 요청했다. 과도한 냉방을 자제하고, 전력소비 피크시간대(오후 1∼5시)를 피해 조업할 것 등을 당부했다. 공급능력을 높이기 위해 5∼6월 예정됐던 화력발전소 9곳의 정비도 가을로 늦추기로 했다. 정비를 미루면 고장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고육책을 낸 것이다.

발전소 건설계획이 당분간 없는 현실에서 전력난을 막을 거의 유일한 대책은 소비를 줄이는 일이다. 기업과 가정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계기로 이달 들어 원전 가동 제로 상태에 돌입한 일본의 절전 캠페인을 참고할 필요가 있겠다.

하지만 경제발전과 소득향상에 따라 전력 수요가 느는 자체를 막기는 어렵다. 매년 성수기에 정부가 전가의 보도처럼 꺼내드는 절전 호소는 근본 대책이 아니다. 합리적인 전기 소비를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절전 습관이 정착되도록 전력요금 체계를 다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전기료를 시간대에 따라 차등화하고, 절전 인센티브를 확대·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지난해 위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전력 비상체제를 점검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