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해체 위기] 운영위 ‘재조사 특위 구성’ 의결 왜… 당권파 공세 피하기 ‘꼼수’
통합진보당 당권파가 4·11 총선 비례대표 경선 부정으로 궁지에 계속 몰리자 이른바 ‘수정 전략’을 들고 나왔다. 당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 발표가 부실하니 재조사 특위를 구성하자고 비당권파에 역제안해 10일 전국운영위에서 통과시킨 것이다.
당권파인 이정희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정지원단에서 열린 대표단회의에서 ‘진상보고서 결과에 따른 후속처리 대책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공동대표는 “당원들의 명예를 훼손한 명백한 부실 조사인 만큼 구체적이고 정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강변했다.
그러나 유시민 심상정 조준호 공동대표는 “진상조사 결과는 지난 4일 전국운영위 토론에서 사실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남은 것은 이에 따른 책임과 후속조치”라며 반대했다. 대표단은 2시간 이상 격론을 벌인 끝에 특위 구성에는 합의했지만 성격을 놓고는 여전히 대립했다.
이 공동대표와 나머지 3인 공동대표 간 견해 차이는 오후 열린 전국운영위에서도 그대로 노출됐다. 이 공동대표는 거듭해서 진상조사 결과 보고서만 문제 삼으며 “편파 보고서를 폐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권파의 논리를 되풀이했고 다른 공동대표들은 “그 문제 논의는 이미 끝났다. 운영위에 회부된 안건을 갖고 얘기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처럼 이 공동대표와 당권파가 특위 구성을 제기하고 나선 것에 대해 비당권파의 공세를 피해가려는 ‘꼼수’라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제기된다.
당초 전국운영위의 주요 안건은 지도부 및 비례대표 경선 공천자 총사퇴, 당원 수 전수조사 등이었다. 만약 비당권파가 지배하는 전국운영위에서 이 안건들이 그대로 통과돼 12일 열릴 중앙위원회에 회부될 경우 당권파의 전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공동대표는 대표직을, 이석기 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는 국회의원직까지 내놔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당권파는 차기 지도부 구성을 위한 6·3 전당대회에서도 소수파로 밀려나는 수모를 겪을 수밖에 없다. 전당대회에서도 이 사태 여파가 이어지면 비당권파에 모든 당 재정 운영 및 조직 책임권을 넘겨야 한다.
따라서 이 거센 폭풍을 피하기 위해 특위라는 새로운 우산을 펴 든 것이다. 일단 특위가 구성되면 당권파는 진상조사위의 조사결과를 부정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종의 ‘물타기’ 전술인 셈이다. 이 공동대표가 전국운영위 직전 기자회견을 자청해 조준호 공동대표에게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힌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유 공동대표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당 내부에 불신이 있다면 그 불신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다시 생각해보라”고 쏘아붙였다. 심 공동대표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12일 중앙위를 통해 결정적인 계기를 만들지 못하면 우리 당은 껍데기만 남고 오히려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