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 난망… 그리스, 재총선 수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시한폭탄’ 그리스의 앞날이 갈수록 혼미해지고 있다.
유로존 국가들은 구제금융 일부 지급 연기라는 벼랑끝 전술로 그리스를 압박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연립정부 구성은 난항을 거듭함에 따라 그리스 정치권이 사실상 다음달 재총선 체제에 들어갔다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는 형국이다.
유럽금융안정기구 이사회는 9일, 다음날 그리스에 지급되어야 할 52억 유로의 구제금융 중 10억 유로를 집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잔금 10억 유로에 대한 집행여부는 내달 그리스의 필요 여부를 판단해 결정된다.
지원받을 돈은 그리스가 3월 강력 긴축 정책 추진 약속을 대가로 유로존 및 국제통화기금(IMF)과 합의한 2차 구제금융 1300억 유로의 일부이다. 그리스는 42억 유로 가운데 당장 33억 유로를 내주 유럽중앙은행(ECB)에 갚아야 한다. 더욱이 그리스는 약속대로 내달 145억 유로의 추가 긴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키지 못하면 추가 구제금융을 받지 못하게 되고 이는 그리스 정부를 파산상태로 내몰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망했다. 그리스 정부 관료는 “현재의 돈으로는 7월 말까지 버틸 수 있을 정도”라고 토로했다. 그리스의 유로 잔고가 바닥 날 경우 결국 그리스의 유로 탈퇴 혹은 퇴출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독일의 볼프랑 쇼이블레 재무장관은 9일 “그리스가 원하지 않으면 유로존에 잔류시킬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리스 정치권의 불확실성은 이런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리스 연정 협상 권한은 10일 의석확보 3위인 사회당에 넘어갔다. 총선 1위 정당인 신민당에 이어 2위 급진좌파연합도 전날 연정 구성 실패를 선언한 데 따른 것이다. 사회당 에방겔로스 베니젤로스 당수는 그러나 “현재 상황에선 우리도 어떤 해결책에 도달하기 힘들 것 같다. 하지만 최선을 다하겠다”며 회의적 입장이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총선 전 신민당과 연정을 구성했던 사회당은 긴축 정책을 주도한데다 부패 이미지까지 겹쳐 인기가 곤두박질쳤다. 그래서 사회당의 연정 구성 노력도 실패할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WSJ는 각 정당들이 물밑에서 내달 초에 치러질 재총선 체제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긴축 준수냐, 유로존 이탈이냐의 기로에 선 그리스 운명은 내달 재총선 이후에 결정되게 됐다.
한편 반(反)긴축정책을 내걸어 6일 프랑스 대선에서 승리한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대통령 당선자는 9일 헤르만 반롬푀이 EU정상회의 상임의장을 만났다. 그는 유럽 공동채권 발행과 정부 주도 경기부양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