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수사] 박영준, 인허가 담당 공무원들에게 이정배씨 소개… 서울시로 수사확대 조짐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수사가 최시중(75)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을 넘어 서울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검찰은 당시 서울시 인허가 담당 공무원들을 최근 잇따라 소환, 조사한 데 이어 강철원(48) 전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현재 강 전 실장 외에 혐의가 확인된 사람은 없다고 3일 밝혔다. 하지만 강 전 실장이 박 전 차관의 인허가 청탁과 관련해 참고인 신분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바뀌고 결국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처럼 서울시 인허가 담당 공무원의 수뢰 사실이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이 서울시에 인허가를 청탁하는 과정에서 이정배 파이시티 전 대표를 강 전 실장 등 서울시 공무원들에게 소개해준 사실을 확인했다.
강 전 실장은 언론인터뷰에서 “2007년 영준이 형이 ‘파이시티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봐 달라’는 전화를 걸어왔다”고 말했다. 이는 이 전 대표가 검찰에서 “박 전 차관이 서울시 공무원들을 소개해줬고 소개비조로 돈을 줬다”고 주장한 것과 맞아떨어진다.
검찰은 강 전 실장이 이 전 대표를 소개받은 뒤 인허가 문제를 알아봐주는 과정에서 박 전 차관과 별도로 돈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대검 관계자는 “강 전 실장은 박 전 차관과 공범은 아니고 인허가 비리와 관련한 별개의 혐의가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이 최창식 전 서울시행정2부시장(현 서울시 중구청장)에게 이 전 대표를 소개해 파이시티 개발사업 브리핑을 할 수 있도록 주선한 정황도 포착했다. 대검 관계자는 “필요하면 (최 전 부시장을) 불러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2005년 11∼12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파이시티에 대규모 점포와 창고 등을 허용하는 도시계획 세부시설 변경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 일부 위원들이 강하게 반대했는데도 2006년 변경 결정이 내려진 경위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 공무원들이 파이시티로부터 잘 봐 달라는 청탁과 함께 거액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시의 파이시티 인허가 과정 전반에 비리가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검찰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을 맡았던 정권 실세들에 대한 수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원이라는 이유만으로 부를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선을 그어 지나친 수사 확대에 경계감을 나타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