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또 퇴출 예고] 자산 2조 넘는 대형사도 포함… 저축銀, 뱅크런 올까 ‘錢錢긍긍’

Է:2012-05-03 18:50
ϱ
ũ

대형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이 임박함에 따라 저축은행 업계는 폭풍전야 상황을 맞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지난해 9월 적기시정조치 유예 업체에 대한 금융당국의 예고된 처분 절차일 뿐이지만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대형은행들이 포함돼 있어 그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9월 8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6개 저축은행에 대해 적기시정조치를 유예했다. 이중 한 곳은 유예기한이 1년이고 다른 한 곳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경영정상화 완료 판정을 받았다. 따라서 이번 주말 예정된 금감원의 구조조정 발표 대상은 4곳이다.

대상 저축은행은 4곳중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서울을 영업 근거지로 하고 있으며 각 지방에 계열사를 두고 있어 이번 금감원의 구조조정 후폭풍이 지난해 2월과 9월 두 차례 구조조정 때보다 세게 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해 부산이나 서울 지역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했을 때 다른 저축은행에서도 뱅크런(예금인출사태)이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우량 저축은행에도 불똥이 튈 여지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사의 구조조정으로 인해 자칫 지방의 정상적 저축은행이 피해를 입을 경우 업계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총선 후와 정권 말이라는 시점도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당국은 총선을 의식해 저축은행 수술을 잠시 미뤘던 터여서 더 이상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 게다가 여야 정당 모두 차기 정권의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저축은행 문제를 미리 털고 가자는 기류가 강해 속전속결식 대책을 당국에 주문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4곳 중 절반 이상의 저축은행이 경영개선 유예 조치보다는 영업정지를 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서울지역의 저축은행 중 영업정지당하는 곳이 복수로 나올 경우 단기적인 금융충격마저 예상된다.

하지만 뱅크런 우려는 지나치다는 지적도 많다. 이미 두 차례에 걸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예금자들이 ‘학습효과’를 터득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예금자보호제도에 대한 꾸준한 홍보로 예금자들의 동요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5000만원 초과 예금자 중 상당수가 예금담보 대출자들로 파악되고 있다”며 “퇴출 저축은행이 5000만원 초과 예금자에게 돈을 돌려주지 못하더라도 예금자는 이를 대출과 상계하면 되기 때문에 실제 피해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에 미치는 악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2월 17∼19일 저축은행 영업정지 발표 후 한 달간 금융 업황의 바로미터로 불리는 은행주 수익률은 코스피 전체 수익률보다 1.5% 포인트 상회했다. 오히려 대형 저축은행의 퇴출로 대마불사 양태가 불식될 경우 금융업계의 불확실성이 제거돼 경제에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