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도 교통량 사상 최대… 2011년 하루 평균 1만2890대
고유가가 계속되고 있지만 대중교통 이용보다는 차를 몰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주요도로 교통량을 조사한 결과 전국 하루 평균 교통량은 1만2890대로 전년(1만2733대)보다 1.2%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교통량 조사를 시작한 1955년 이후 최고치다.
일 교통량은 금융위기였던 2008년 당시 일시적으로 감소(-2%)했지만 이듬해부터 꾸준히 늘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교통량이 가장 많이 늘어 1.6% 증가했다. 전체 교통량에서 승용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68.1%로 가장 많다. 고유가임에도 불구하고 승용차들로 도로가 붐비고 있는 셈이다.
버스 교통량은 1.4%, 화물차는 0.4% 증가했다. 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3.4%, 화물차는 28.5%다.
도로유형별로는 고속국도와 지방도로의 교통량이 1.8%, 2.8% 각각 늘었다. 일반국도 교통량은 0.8% 줄었다. 대체우회도로가 교통량 분산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자유로(일반국도 77호선, 성산대교∼행주대교)였다. 이어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23만5883대), 자유로 행주대교∼장항IC구간(21만2732대), 경부고속국도 수원∼판교구간(20만7394대) 순이었다. 교통량이 가장 적은 곳은 지방도로 945호선(경북 경주 양남∼양북면)으로 70대였다.
교통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였다. 경기도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3만4002대로 집계됐다. 강원도는 5672대로 가장 적었다.
하루 평균 교통량이 가장 많은 달은 8월(1만7022대)과 10월(1만6658대)이었다. 휴가철과 추석연휴 등의 영향이 컸다.
요일별로는 토요일(1만7004대) 교통량이 가장 많았고 일요일(1만4812대)이 가장 적었다. 주중은 금요일(1만6406대)이 가장 많았고 수요일(1만5517대)이 가장 적었다.
신종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