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세금회피 구린내… 법인세 없는 네바다·버진군도 등에 자회사

Է:2012-04-29 19:29
ϱ
ũ

미국 네바다 주 북서쪽 리노 시에 자리 잡은 브래번 캐피털사. 직원이 고작 10여명인 이 회사가 입주한 건물은 밋밋하기 짝이 없다. 주변엔 폐업 중인 식당도 있다. 사무실에 붙은 아이패드 포스터에서 겨우 이 회사가 IT기업 애플 자회사라는 걸 짐작할 수 있을 정도다.

이 회사는 아이폰을 디자인하거나, 고객서비스 센터를 운영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미국 내 어떤 소비자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살 경우, 그 판매 수입은 바로 이 회사가 개설한 계좌에 쌓이고, 수익금은 나중에 주식과 채권 등에 투자된다.

스티브 잡스 사후에도 깜짝 실적을 자랑하는 애플이 세금을 피해가는 방법에 있어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9일 애플이 네바다 주 리노 지사를 비롯해, 아일랜드,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영국의 버진 군도 등 글로벌 조세회피지역에 자회사를 둠으로써 매년 수십억 달러의 세금을 줄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이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 주 쿠퍼티노가 아니라 네바다 주에 지사를 설립한 것은 네바다 주의 법인세 세율이 제로이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 주 법인세율이 8.84%인 것에 비하면 애플은 실제 리노 지사 덕분에 엄청난 세금 혜택을 봤다.

지난해 애플은 전 세계 시장에서 342억 달러(38조7000억원) 순익을 거뒀는데, 이에 대한 세금으로 9.8%에 해당하는 33억 달러를 냈다.

반면 월마트가 지난해 거둔 244억 달러 순익에 대해 낸 세금은 24%에 달하는 59억 달러나 됐다. 경제학자 마틴 설리번은 이런 세금회피 기술이 없었을 경우 애플이 지난해 미국에 추가로 지불해야 할 연방세금은 24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애플의 세금 회피가 가능한 데는 과거 산업경제 시대에 맞춰진 세금 규정 탓도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제품 판매처가 분명한 공업 제품과 달리 애플리케이션이나 음악은 세계 어디서나 다운로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맹점을 이용해 애플은 순익의 70%를 해외에 할당시키는 합법적인 방법을 찾아냈다. 따라서 온라인 제품의 경우 그것이 팔리는 곳이 아니라 가치가 창출되는 곳에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애플의 경우 주요기업 임원, 디자이너, 마케팅 전문가, 연구원 등이 미국 내에 거주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 세금법이 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비판에 대해 애플은 “우리는 법과 회계 기준을 준수하며 모든 윤리기준에 맞게 기업을 경영해왔다”고 반박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