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의원 되려면 국가관 떳떳이 밝혀라

Է:2012-03-29 18:35
ϱ
ũ

4·11 총선을 앞두고 본격화되는 선거전에서 유권자들이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 후보들의 역사관과 국가관이다. 국회의원은 중대사를 결정하는 정치인들이기에 우리나라가 걸어온 길, 혹은 앞으로 걸어갈 길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게 지역에 머무는 지방자치단체 의원들과의 차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어떻게 보느냐는 역사관의 핵심을 이룬다. 누구든 이 질문을 어물쩍 피해갈 수 없다.

국가관은 대북관 혹은 통일관이 중심이다. 국회의원 후보자라면 북한 정권의 3대세습이나 북핵문제, 주한미군 철수 등에 대해 분명한 입장이 있어야 한다. 북한이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마저 “민생을 먼저 돌보라”고 촉구해도 “민생을 해결하는 결정적 한방은 핵무기”라고 믿는 선군정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국민들 사이에 갈등의 골을 깊게 만든 한·미 FTA나 제주 해군기지 건설문제도 결국 대북관과 이어진다.

이런 요구는 특히 통합진보당 후보들에게 집중된다. 과거에 북한의 지하조직원 활동을 한 5명이 통합진보당 후보에 올라있다는 주장에 대해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 폭로자 하태경씨가 새누리당 후보이긴 하지만 예전에 좌파운동을 하다 전향한 이력으로 보아 상당한 근거가 있어 보인다. 제1야당과 연대한 통합진보당이 원내교섭단체 구성까지 희망한다면 먼저 비례대표 명단에 오른 후보자들의 신원을 소상하게 공개하고 의혹은 해명하는 게 정도다.

국민들도 더 이상 이런 논란에 대해 무덤덤해 할 일이 아니다. 북한의 지령을 받고 움직이는 사람이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된다는 것은 국기를 흔드는 일 아닌가.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색깔론과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이야기다. ‘종북’이 개인의 신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국회의원, 나아가 한 정치집단이 공유하는 사상이라면 엄격하게 검증하는 게 마땅하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국민이 선거를 통해 공개적으로 북한정권의 대리인을 추인하는 결론에 이르기 때문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