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르’ 푸틴의 귀환] 한반도 정책은… 북한과 관계 개선 통해 발언권 높일 듯
3번째 대통령에 당선된 블라디미르 푸틴의 러시아는 앞으로 대(對)한반도 문제에서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관계자는 5일 “러시아가 외교적으로 독자 행보를 강화할 것으로 본다”며 “북핵 6자회담 재개에 대해서도 조금 더 자기주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러시아는 6자회담에 큰 관심이 있고 과거 6자회담 시 한반도 평화분과를 맡은 경험도 있다”며 “한반도 문제와 이해관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발언권을 강화하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까지는 큰 진전이 없는 러시아와 남북한을 잇는 가스관연결사업이 진척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교안보연구원 고재남 교수는 “푸틴 당선자가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한반도에서의 발언권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며 “남·북·러 가스관 협력사업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푸틴 3기의 한반도 정책은 큰 방향에서 푸틴 1, 2기 및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집권기 때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0년 푸틴이 집권하면서 강조한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은 주변 강대국들과 동등하게 한반도 문제에 개입하고 남북한과 등거리 외교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다만 아시아 정책은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과 미국이 아시아 지역 중시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 역시 이 지역에 이해관계가 있는 강국으로서 빠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극동지역의 안정성이 중요해진 만큼,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안정을 추구해나갈 필요도 있다.
최현수 기자 hs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