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처럼 구부러지는 태양전지 세계 첫 개발

Է:2012-02-28 21:44
ϱ
ũ

경남 창원에 있는 한국전기연구원은 나노기술과 섬유기술을 접목해 종이처럼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종이형 유연 태양전지’ 제조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종이형 유연 태양전지’ 제조기술은 전기연구원 창의원천연구본부 이동윤(51) 차승일(38) 박사팀이 개발했다.

차승일 박사는 “빠른 시일 내에 기술을 기업에 이전할 계획”이라며 “보급화에 성공하면 종이형 태양전지를 기존 태양전지의 절반 이하인 와트당 0.5달러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전통 창호지 문 구조를 응용한 새로운 개념의 태양전지는 금속 격자, 세라믹 종이, 나노 섬유 등을 사용해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다.

종이형 태양전지는 실리콘·유리기판 등으로 만든 기존 태양전지의 유연성 한계를 극복해 건물의 창문이나 의류 등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건축, 방위산업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종이형 태양전지 제조기술은 에너지·환경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에너지 앤드 인바이런먼털 사이언스(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의 이슈 논문에 선정됐다.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케미스트리 월드(Chemistry World)’에도 소개돼 호평을 받았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