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라이프] 연세대 기독교 이사 감축문제가 한국교회 전체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20일 서울 정동 달개비에서 주최한 교단장 간담회에서 13개 교단장은 법적 대응과 성명서 작성, 전국교회 서명 등을 통해 연세대 이사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 강력 대처하기로 했다.
이 문제가 폭발력을 지닌 것은 연세대는 복음의 씨앗을 처음 뿌린 언더우드 선교사가 설립한 학교인데다 교회의 사회적 기여도를 거론할 때 상징적 ‘아이콘’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연세대 이사회가 정관을 개정하면서 정식 절차를 밟지 않고 독실한 불교신자로 알려진 모 이사가 참여한 가운데 한국교회 지분을 대폭 축소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분이 커지고 있다.
박위근 연세대 이사파송문제 대책위원장(예장 통합 총회장)은 “연세대는 한국교회의 자존심이자 선교의 열매로 4개 교단 파송 이사를 통해 정체성을 지켜왔다”면서 “그런데 연세대 이사회가 정관을 개악하면서 기독교 사학의 뿌리를 흔들었기 때문에 한국교회는 마음을 합해 원래대로 학교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엄현섭 루터교 총회장도 “그동안 연세대는 수익창출이라는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신과대를 폐지하려는 등 기독교 정신을 없애려는 시도를 수차례 해왔다”면서 “이번만큼은 반드시 한국교회가 앞장서 학교를 되찾아 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종덕 구세군 서기장관은 “교단 신학교 정관을 개정하는 데 자그마치 7개월 이상 소요된 경험이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가 어떻게 3일 만에 이사회 정관변경 승인을 해줬는지 상식적으로 납득되지 않는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주목할 것은 NCCK와 신학노선의 차이로 거리를 두고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과 백석,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독교한국침례회가 연세대 이사파송문제 대책위원회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데 있다. 특히 예장 합동과 기성은 1950·60년대 NCCK 참여여부를 놓고 분열을 겪은 교단이기 때문에 한국교회가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예장 합동 총회장을 대신해 참석한 황규철 총무는 “연세대 이사회의 무법적인 행동은 한 학교에 국한된 일이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에 대한 것으로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나라를 되찾기 위해 나섰던 3·1운동 정신처럼 연세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이라면 적극 협력하고 참여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예장통합 박 총회장과 예장합동 황 총무 외에도 김종훈 NCCK 회장(기감 서울연회 감독)과 유정성 기장 총회장, 박성배 기하성 총회장, 고충진 기하성 여의도순복음 부총회장, 주남석 기성 총회장 등이 참석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NCCK 교단장 간담회에서 연세대 이사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 강력 대처하기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