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의 사계] 유홍준이 걱정한 시무나무
글쓰기의 상수(上手) 유홍준이 돌아왔다. 문화재청장이라는 벼슬을 지낸 후에 처음 나온 책이 답사기 6권 ‘인생도처유상수’다. 살아가는 곳곳에 상수들이 많더라는 겸사다. 그의 글이 늘 그렇듯 읽는 즐거움을 준다. 정밀한 자료를 분석해 전문성을 한껏 과시하고 적절한 예화로 버무린 뒤 묵직한 의미를 부여하는 구성이다.
경복궁 편에 향원정 앞 시무나무가 나온다. 느릅나무 무리 중 가장 재질이 단단해 수레바퀴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는 문헌을 인용한다. 그러고는 “양옆 버드나무에 치여 간신히 생명을 유지하면서 햇볕을 받기 위해 뻗쳐 올라간 윗가지가 가냘프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토로한다. 나무에 인격을 부여해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실제로 이 나무는 경복궁 관리소가 울타리를 쳐 보호하고 있지만 비실비실하다. 줄기에 비해 잎의 양이 형편없이 적어 초췌해 보인다. 이제 답사기를 읽은 독자들이 무리 지어 시무나무를 찾을 것이다. 부디 많은 사람들의 사랑으로 원기 회복하기를.
손수호 논설위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