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잠긴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원점으로

Է:2011-08-08 18:14
ϱ
ũ
물에 잠긴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원점으로

물속에 잠긴 채 부서져 가고 있는 국보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이 길을 잃었다.

정부는 울산 시민들의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춰 반구대 암각화를 물에서 꺼내고, 부족한 식수는 인근 경북 청도 운문댐에서 끌어오는 대책을 내놓고 이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이 대책의 전제 조건이 되는 ‘울산권 맑은물 공급 사업’(대구 취수원의 경북 구미 이전 사업)이 지난달 발표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성 없음’으로 판정됨에 따라 10여년을 끌어온 암각화 보존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총리실 관계자는 8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에 운문댐에서 물을 끌어오는 방안은 무산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다른 대책을 찾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황식 국무총리와 정운찬 전 총리, 김형오 전 국회의장, 박근혜·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 등도 암각화 현장을 방문하고 대책을 주문하고 있으나 여전히 실질적인 보존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기존에 나온 보존 대책들을 다시 점검하기 시작했고, 국토해양부는 사연댐 수위 저하로 초래되는 울산시의 물 수요량을 재산정하고 있다. 총리실은 여기서 나오는 결과를 토대로 이달 중 관련기관들과 대책 회의를 가질 계획이다.

총리실은 운문댐 물을 대신해 공업용수 전용인 대안댐의 물을 식수로 전환해 공급하는 방안, 낙동강 물을 정화해 울산시에 추가 공급하는 방안 등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암각화 보존 대책으로 울산시가 제시한 사연댐 유로(流路) 변경안도 다시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암각화 전문가인 김호석(동양화가)씨는 “유로 변경이나 낙동강 물 정화 방안 등은 논란이 있어 합의에 이르지 못했던 것들”이라며 “정부는 더 이상 시간만 끌지 말고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 동구가 지역구인 안효대 한나라당 의원도 “세계문화유산이 지금 허물어지고 있는데 정부가 경제성만 따지는 건 너무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