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당헌 바꾼다고 달라지겠나

Է:2011-05-20 17:50
ϱ
ũ

한나라당 내분이 점입가경이다. 4·27 재보선 패배에 대한 반성이 결국 내년에 있을 대선 경선의 전초전으로 변질되었다. 정부 정책을 비판하고 민주당의 가치를 따라잡아야 한다느니, 보수의 가치를 강화해야 한다느니 등의 논의도 대선과 맞물린 당권 논의에 밀려났다. 국민은 떡을 줄 생각이 없는데 저희들끼리 김칫국을 다투고 있는 형국이다.

한나라당 당헌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 선거일 1년6개월 전에 사퇴하도록 되어 있다. 당 대표가 당권을 무기로 경쟁자보다 유리한 입장에서 경선을 치르지 못하도록 한 제도다. 대권 주자도 당 대표가 될 수 있도록 이를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반대했다. “선거나 당장 필요한 과제가 있다고 해서 정당정치의 개혁을 후퇴시켜선 안 된다”는 것이다. 경쟁의 맨 앞을 달리는 데다 한번 원칙을 정하면 바꾸지 않는 박 전 대표가 거부권을 행사한 만큼 사실상 논의는 끝난 것이나 다름없다. 더 다툴수록 한나라당의 지리멸렬만 부각된다.

당헌을 고쳐 대선 주자가 당 대표가 되더라도 경선에 임박해서는 자리를 내놓아야 할 게 뻔하다. 고치더라도 사퇴 시점을 단축하는 정도가 될 것이다. 그 경우 7월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를 뽑더라도 임기는 길어야 1년이다. 당권을 장악해 당내 기반을 넓히고 국민 인지도를 높이고 싶은 이도 있지만 박 전 대표라면 다시 대표가 되어 온갖 바람을 앞에서 맞기보다 안전한 쪽을 택하는 게 당연하다.

이런 정치공학을 떠나 한나라당의 위기가 당권·대권 분리, 즉 리더십 때문이라는 진단부터 공감하기 어렵다. 한나라당 스스로 당헌 탓이 아니라는 걸 잘 알 것이다. 국민도 한나라당 당헌에 얼마나 관심을 갖겠는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당의 기반은 민심에 있는 것이지 권력 체계에 있지 않다. 민심을 사는 것이 중요하지 권력 체계를 바꾼다고 기회가 억지로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곡을 찔렀다. 제도 탓만 할 게 아니라 민심을 사로잡을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