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라덴 잡은 오바마… 안보 이니셔티브도 잡았다
내년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미국에서는 안보 이슈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대부분 정치 전문가들은 빈 라덴 제거작전을 계기로 불거진 안보 이슈가 단기적으로 끝나진 않을 거라고 예상한다. 테러와의 전쟁이 끝난 게 아니고, 보복 테러나 자생적 테러 등 위협 요인이 여전하다. 게다가 오는 7월부터 단계적인 아프가니스탄 철군 전략이 또다시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철군 방침을 공언했지만, 행정부와 의회 내에서 이견이 있고, 세부 일정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나아가 중동 전략과 이슬람권과의 관계 변화는 내년 대선 때까지 핵심 이슈가 될 게 분명하다.
대권 도전을 선언한 론 폴(공화·텍사스) 하원의원은 “내가 대통령이라면 기습공격 명령을 내리지 않았을 것”이라며 “빈 라덴은 생포했어야 했다”고 오바마 대통령을 공격했다.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나 여전히 보수층에 영향력이 높은 마이크 허커비 전 아칸소 주지사는 “빈 라덴 사살이 오바마 대통령 재선을 보장하진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언급들은 빈 라덴 사살 직후 “대통령이 잘했다”는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 등의 반응과는 흐름이 다르다.
흥미로운 점은 지금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의 공적 1호 빈 라덴을 제거함으로써 안보 이슈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잡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는 공화당과 보수층이 주도했었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일부 보수인사들이 “조지 W 부시 정권의 과실을 따먹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빈 라덴 사살 이후 AP통신과 Gfk 공동 여론조사에서 오바마 미 대통령의 지지도는 60%로 올라섰다. 40%대 초반까지 내려가다가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응답자 73%가 오바마 대통령이 테러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그를 미국 안전의 수호자로 간주한 것이다.
여론조사 기관들은 중도성향 유권자들의 오바마 쏠림 현상이 있다고 분석했다. 덩달아 그가 경제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지지도가 52%까지 올라갔다. 이 역시 취임 이후 최고다.
물론 이 흐름이 얼마만큼 지속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대선을 앞두고 공화당이 긴장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