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빈 라덴 사살]“빈 라덴 비무장 상태였다”…사살 정당성 논란 확산

Է:2011-05-05 00:43
ϱ
ũ

오사마 빈 라덴의 사망 당시 상황과 사살 정당성 여부 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상황과 관련해 백악관이 입장을 번복하면서 미국이 거짓말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미국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빈 라덴은 비무장 상태=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3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빈 라덴의 최후 순간을 설명하면서 비무장 상태였다고 밝혔다. ‘비무장을 왜 사살했느냐’는 질문에 그는 “상당한 저항이 있었고, 무장한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고 답했다. ‘빈 라덴이 있던 방엔 무장한 다른 인물이 없지 않았느냐’는 지적에는 “언제라도 총격전이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빈 라덴의 저항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전날 빈 라덴이 자신의 부인을 인간방패로 삼은 뒤 AK47 자동소총으로 격렬하게 저항했다는 내용을 전면 번복한 것이다.

백악관이 말을 바꾼 배경에 대해 카니 대변인은 “워낙 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쏟아져 혼선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특수부대원들의 헬멧 비디오카메라에 잡힌 동영상에 빈 라덴이 무장하고 저항한 모습이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리언 파네타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작전 상황이 백악관에 생중계됐지만 빈 라덴 사살 장면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원래 생포가 아닌 사살이 목적=빈 라덴이 비무장이었다면 애당초 작전목표가 사살이었음을 의미한다. 안보담당 고위 당국자는 상황 종료 직후 로이터통신과의 회견에서 “작전팀은 생포가 아닌 사살이라는 작전명령을 하달 받았다”고 밝혔다. 생포 의도가 없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특히 특수부대원이 빈 라덴에게 확인사살을 가했다고 밝힌 점은 미국이 빈 라덴을 재판정에 세울 의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빈 라덴을 살려둘 경우 정보원으로서 가치가 부족한 데다 이슬람 급진 세력 사이에서 신화적 존재감이 더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리언 파네타 CIA 국장은 이날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생포도 작전목표에 포함됐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처음부터 사살될 공산이 클 것으로 가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미군이 빈 라덴을 생포한 뒤 가족 앞에서 사살했다는 빈 라덴 딸의 진술이 나와 미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국제법 위반 및 도덕적 문제 제기=세계 각국에서 미국이 ‘세계 경찰’이자 ‘사형 집행자’로서 행동하는 것은 잘못됐다며 빈 라덴을 사살하는 대신 생포해 법정에 세웠어야 옳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독일의 헬무트 슈미트 전 총리는 이날 미군의 작전은 분명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미국은 알카에다와 전쟁 중이며 빈 라덴은 ‘적의 전투원’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사살이 정당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많은 국제법 전문가들은 국가에 의한 개인의 암살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미국으로부터 사전 연락도 못 받은 파키스탄 정부는 성명에서 이번 사살 작전을 “승인되지 않은 일방적 행동이었다”고 비판했다.

게다가 CIA가 관타나모 수감자들을 상대로 빈 라덴의 거처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국제사회가 비난해온 물고문 기법이 동원된 것으로 알려져 또 다른 논란이 일고 있다. 파네타 국장은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사실을 시인했다. 여기에 빈 라덴을 가족 앞에서 사살했다는 딸의 진술은 이번 작전의 비인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