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한국대사관 한영섭 식약관 “불량식품 실상 과감한 공개, 한국에 수출되는 식품 수차례 검사”

Է:2011-05-03 17:34
ϱ
ũ

한영섭(45) 주중 한국 대사관 식약관은 2일 최근 잇따른 중국 식품안전 사건에 대해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 식약관은 “불량식품 실상이 은폐되지 않고 공개되고 있고, 중국 당국의 강력한 관리감독 등 정책 의지가 엿보인다”면서 “식품안전이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다음은 한 식약관과의 일문일답.

-중국에서는 왜 불량식품 사건이 계속 발생하나.

“영토가 광활하고 다양한 민족 및 세계 최대 인구가 있는 중국에는 식품을 소비하는 소비층도 매우 다양하다. 싼 가격의 제품을 요구하는 시장이 존재한다. 일부 공급자가 이런 시장의 특성을 악용, 경제적 이익을 노려 불법·탈법적인 수단을 사용하려는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같다. 공급자들의 도덕적 해이가 문제다.”

-중국 소비자들의 ‘먹거리’ 공포가 커지고 있다. 갑자기 불량식품이 많아진 건가.

“불량식품이 갑자기 많아졌다기보다 전국 곳곳에 상존해 있던 불량식품 실상이 소비자와 언론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아졌다.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중국 정부의 불량식품 대처 방식은 어떤가.

“중국 정부의 식품안전 정책변화 중 가장 주목되는 건 언론을 통해 실상을 과감히 공개한다는 것이다. 실상 공개와 대대적인 관리감독 강화로 불량식품 퇴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식품안전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의 현재 식품안전 문제를 외국과 비교하면.

“중국은 식품안전 법령이 나름대로 잘 정비돼 있고 단속 및 처벌도 강한 국가다. 나라마다 식품문화가 달라 일괄 평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중국의 식품안전 수준은 꾸준히 향상되는 게 분명하다.”

-한국에 수출되는 중국 식품은 믿을 수 있나.

“현지에서 1차 검사 후 수입 단계에서 다시 검사받게 되며, 유통 중에도 검사가 이뤄진다. 통계적으로 보면 한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식품의 부적합률은 대체적으로 연 평균 0.5∼0.6%로 안전한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다른 어느 국가보다 수출입 식품 기준 및 안전, 식품정보 등 각 분야에서 정보공유 및 조기경보 체계가 잘 가동되고 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