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단일정당땐 160석도 가능”…민주 ‘대통합론’ 시동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1일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 문화마당에서 열린 노동절 121주년 한국노총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당초 한국노총 측이 “정치인은 오지 말라”고 거부했는데도 ‘초대받지 않은 손님’으로 참석을 강행해 아스팔트 맨바닥에 그냥 주저앉았다. 한나라당 측 참석자는 아무도 없었다. 손 대표 측근은 “내년 총선 및 대선을 앞두고 민주개혁진영을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비슷한 시각 대전 스파피아 호텔에서는 민주당 의원과 지역위원장 78명이 참석한 가운데 야권통합 실천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민주당 내 최대 계파로 불리는 ‘진보개혁모임’이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최한 대규모 워크숍이다. 김근태 상임고문과 문희상 의원 등 참석자들은 본격적인 ‘야권대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 시기 및 방법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민주당에서 야권대통합 추진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4·27 재·보선을 통해 현재의 연합공천과 후보단일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자 대통합을 염두에 둔 발걸음이 빨리지는 모습이다.
대통합론은 야권연대 수준을 몇 단계 더 끌어올려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은 물론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진보적 시민사회단체까지 일제히 포괄하는 단일정당을 만들자는 개념이다. ‘원샷 통합론’이라고도 한다. 민주당 통합론자들은 오는 12월 전당대회가 예정돼 있는 만큼 9∼10월 중에는 구체적인 윤곽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인영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 때 야권이 분열하면 전국적으로 총 120석 정도를, 연합공천으로 후보단일화를 하면 140석 안팎을 얻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그러나 대통합당을 만들면 극대화된 시너지 효과로 수도권 의석의 3분의 2, 영남에서 20석 정도를 얻어 전국적으로 160석 이상 석권이 가능하다”고 장담했다.
문제는 각 당의 지향점과 지지층 성향, 구성원의 이해관계 등에서 대립하는 측면이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다른 군소야당에 대한 흡수통합으로 비쳐지지 않으려면 민주당에서 총선 지분의 30% 안팎을 다른 야당에 양보해야 하는데, 과연 민주당 출마 희망자들이 수용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각 당의 정체성도 큰 걸림돌이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야권 전체의 단일정당을 구성하자는 것은 이제 걸음마를 갓 뗀 아이한테 뛰라고 하는 얘기나 같다”면서 “뿌리가 같은 민주당과 참여당 사이의 연대도 잘 안 되는데, 민노당과 진보신당까지 포함해서 원샷 단일정당을 만들자는 건 현실성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