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판자촌' 구룡마을 공영개발…주민, 구청서 반대 농성
[쿠키 사회] 20년 이상 방치돼왔던 서울의 대표적인 빈민 판자촌인 개포동 구룡마을이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SH공사가 구룡마을을 개발해 2016년까지 아파트 2793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서울시는 25만2777㎡ 상당의 자연녹지지역인 구룡마을을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해 기존 거주민이 재정착할 수 있는 영구·공공임대 아파트 1250가구를 포함, 총 2793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영구임대아파트를, 나머지 가구에는 공공임대아파트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전용면적도 59㎡ 374가구, 49㎡ 374가구, 39㎡ 251가구, 29㎡ 251가구 등으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사업 기간에는 거주민 가구원수별로 주거이전비를 지급하고 저소득층을 위해 전세보증금 융자도 알선할 예정이다. 거주민들이 원할 경우 기존에 비어 있는 여타 지역의 임대아파트를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서울시는 이 지역을 민간에 맡기지 않고 SH공사가 주도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민영개발 방식으로 하면 개발이익 사유화에 대한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고 사업이 부진할 경우 현지 거주민의 주거 대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은 공공 재투자를 통해 거주민들의 복지나 소득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고, 학교와 도로, 공원, 녹지 등을 충분히 조성해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주거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강남구는 외부 투기세력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현지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을 등재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내년 3월 중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을 마치고 2014년 3월 사업에 착수해 이르면 2016년 8월께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구룡마을 주민 300여명은 28일 오전 10시부터 강남구청 청사에서 공영개발 계획 철회를 주장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구청장실이 있는 청사 3층 복도와 2~4층 계단을 점거하고 구호를 외치며 신연희 구청장에게 직접 면담을 요구했다. 일부는 구청장실 출입문 손잡이를 뜯어내는 등 물리력을 행사하고 있다.
주민들은 "SH공사가 개발하면 영구임대주택에는 100여 세대밖에 들어가지 못한다"며 "공영개발 계획은 SH공사의 빚을 청산하기 위한 정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또 민간업체가 제출한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서를 보완해 시에 제출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구는 "녹지 훼손이 심하고 소수에게 특혜가 돌아갈 소지가 있는데다 개발권한은 시에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주민 대표단은 시위에 앞서 오전 9시부터 구청장과 면담했지만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경찰은 4개 중대 400여명의 경력을 구청사에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오갈 데 없는 빈민들이 하나둘씩 모이면서 만들어진 무허가 판자촌이다. 현재 1242가구 253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그동안 건물이 낡아 화재가 날 우려가 크고 오·폐수, 쓰레기 등 생활환경이 열악해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팀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