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만에… 거듭나는 장충체육관
‘박치기왕’ 프로레슬러 김일, 한국 최초의 프로 복싱 세계챔피언 김기수, 천하장사 이만기….
국내 스포츠 스타들의 주무대였던 서울 장충체육관이 50년 만에 리모델링에 들어가 복합 문화체육시설로 탈바꿈한다.
장충체육관은 1963년 국내 최초의 돔 실내경기장으로 문을 열었고, 농구 배구 핸드볼 등 실내 스포츠 전문시설로 운영됐다. 이곳에서 박정희·전두환 전 대통령의 선출과 취임식이 치러진 이후 ‘체육관 대통령’이라는 말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서울시는 236억원을 투입해 2012년 4월 장충체육관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 2013년 10월 재개관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장충체육관의 시설이 낡아 농구 배구 등 일부 구기종목을 제외한 일반 행사가 스포츠 경기보다 더 많이 열리고 있어 리모델링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장충체육관은 지하 2층, 지상 3층, 연면적 1만1373㎡ 규모로 리모델링된다. 특히 체육 경기뿐 아니라 콘서트와 뮤지컬 등 문화공연 장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관람석은 현재 590석에서 5248석으로 늘어난다. 경기장 바닥길이는 36m에서 55m로 늘어나 핸드볼을 비롯한 모든 실내경기가 가능해진다. 1층 주경기장은 운동 종목이나 행사 내용에 따라 공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동식 좌석’ 1528개가 설치된다.
지하 2층에는 670㎡ 규모의 보조경기장이 조성돼 경기 기간에는 선수들의 연습공간으로, 그 외에는 시민들의 생활체육 공간으로 쓰일 계획이다. 헬스장은 259㎡ 규모로 지하 2층에 조성된다. 지하 1층에는 시민들이 요가 에어로빅 등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 259㎡ 규모의 공간이 마련된다.
시는 의무실, 수유실, 화장실 등 서비스 시설도 개선할 방침이다. 아울러 체육관 앞쪽 지하 공간을 개발해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에서 체육관으로 곧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장충체육관을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으나, 시는 체육관의 역사성 등을 감안해 현재 형태를 최대한 보존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