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대장 용종, 절반 넘게 재발한다”
대장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고위험 대장 용종(폴립)의 절반 이상이 재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수진·김주성 교수팀은 건강검진을 받은 2452명을 대상으로 대장 용종절제술 후 용종 재발률을 분석한 결과 고위험군(지름이 1㎝ 이상이거나 3개 이상의 선종 또는 조직분화도가 나쁜 경우)의 선종성 용종 재발률이 57%에 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저위험군(1㎝ 미만의 선종이 1∼2개인 경우)의 용종 재발률 46%, 정상군의 용종 발생률 29%에 비해 높은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진행성 대장선종은 용종의 크기가 1㎝ 이상이거나 조직검사에서 조직분화도가 나쁜 것을 말하는데 그만큼 암이 될 가능성이 크다. 연구팀은 처음 검사에서 정상이거나 저위험군이었던 경우 5년 후 추적검사를 권장하고 있지만,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용종절제술 후 추적검사 시기를 3년 미만으로 앞당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수진 교수는 “대장 선종은 물론 대장암 초기라 해도 별다른 증상이 없고 작을 때 찾아내야 암으로 가는 길목에서 차단할 수 있다”면서 “남녀 모두 50세부터는 정기적으로 대장 검진을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어 “대장 내시경은 대장 전체를 검사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용종이 발견되면 조직검사 및 용종 절제술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장점이 있다”면서 “정기 대장내시경 검사와 더불어 절주, 금연, 규칙적 운동 및 저지방 고섬유질 음식 섭취 등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병행하는 것이 대장 선종 및 암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