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방사능 누출 피해대책 ‘모르는 게 약?’… 비축 예방약 13만5천명분 불과
갑상선·후두암 등 방사능 피해를 예방하는 요오드화칼륨 제제의 국내 비축량은 13만5000명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15일 “국내 비축 중인 요오드화칼륨 제제는 모두 135만정”이라고 밝혔다. 방사능 누출 강도에 따라 1인당 10정까지 섭취하도록 지급되기 때문에 13만5000명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 관계자는 “국내 방사능 오염 방재 대책은 원전 인근 지역의 국지적 방사능 누출 피해를 상정하고 있다”며 “원전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방사선 비상진료센터로 지정된 병원 21곳에 나눠 보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요오드화칼륨을 섭취하면 갑상선이 충분한 양의 요오드를 흡수해 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방사성 요오드를 흡수하지 않게 된다. 이번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직후 일본 정부도 우선적으로 요오드 확보에 착수해 피해 우려 지역 주민에게 배급했다.
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폭발 사고가 알려진 직후 인접국인 폴란드는 첫 조치로 국민 1800만명에게 요오드 대체제를 지급했다. 이후 폴란드 정부는 우유나 채소 등 오염 우려가 높은 식품의 섭취를 자제하도록 당부했다.
스위스 정부는 2004년 원전의 반경 20㎞에 거주하는 주민 120만명에게 요오드 정제를 무상 배포했다. 비상시 약품을 제때 배포하기 어렵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독일의 경우 원전 반경 25㎞ 이내 지역에선 주 정부가 직접 가구당 12알씩 나눠줬다.
유럽에선 체코 오스트리아 프랑스 아일랜드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 등은 일정 반경 이내 주민에게 요오드 정제를 사전에 배급하고 있다. 반면 네덜란드 헝가리 룩셈부르크 일본 영국 등은 주 정부나 관련 기관이 보관하고 유사시 배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방사능 누출 대비 국민행동요령도 ‘가급적 가옥이나 건물 내에서 생활’ ‘우물·장독 등은 뚜껑을 덮어 둠’ ‘야채 과일 등 채소류는 잘 씻어서 먹음’ 등 모호하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내용이 대부분이라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많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