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중층·복층 아파트 공급… 서울시, 1∼2인가구 ‘强小주택’ 모델 개발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복층과 중층 구조의 소형 아파트가 공급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올해 1∼2인 가구에 적합한 강소(强小)주택 모델을 개발하고 내년부터 시가 공급하는 주택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시는 SH공사와 공동으로 다음달 강소주택 모델 개발 용역을 발주, 강소주택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보금자리주택 등에 이 모델을 적용해 공급할 방침이다.
강소주택은 50㎡ 이하 소형 주택을 짜임새 있게 설계해 ‘작은 집을 넓게 쓰도록’ 만든 신개념 주택이다. 혼자 살거나 부부가 생활하는 가구를 위한 설계다. 1∼2인 가구 폭증으로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좁은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주택 모델을 시 차원에서 공식 개발해 공급한다는 취지다.
현재의 단층을 복층이나 중층 구조로 바꾸는 모델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다락방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중층이나 복층은 수평공간을 2층처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고정식 가구를 이동식이나 수납형 또는 가변형으로 바꾸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여닫이문을 미닫이문으로 만드는 것도 기존 소형주택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시는 2020년까지 전용면적 50㎡ 이하 소형주택을 매년 3만가구씩 모두 30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모든 주택 공급 과정에서 소형주택 공급 의무 비율을 늘리고, 민간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소형 주택을 늘릴 경우 기준 용적률을 높여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역세권 등 고밀복합형 재정비 촉진지구에 소형주택이나 소형 장기전세주택(시프트)을 공급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