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년전 신석기 공동묘지 발굴
부산 가덕도에서 약 8000년전 신석기시대 초기 집단묘역이 발굴됐다. 이곳에서는 인골(사람뼈)이 무더기로 나왔다.
한국문물연구원은 부산 성북동 가덕도 ‘부산 신항 준설토 투기장 예정지’ 일대에서 신석기 전기(기원전 6000∼기원전 4000년)로 추정되는 인골 26기과 함께 완형형태의 토기 30점 등 유물을 발굴했다고 17일 밝혔다. 문물연구원은 지난해 6월부터 부산해양항만청의 의뢰로 이곳 준설토 투기장 예정지에 대해 발굴조사를 벌여왔다.
이번에 발굴된 신석기 인골은 모두 머리가 북쪽으로 향해 있고 인골마다 옥이나 고래 가슴뼈, 상어 이빨, 융기문(隆起文·돋음무늬) 또는 압인문(押引文·찍어눌러 만든 문양) 토기(土器) 등이 함께 묻혀 있어 신석기시대 집단 매장터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고래 가슴뼈는 길이 70㎝에 타원형으로 양쪽 끝을 의도적으로 절단해 묻었고 길이 7.2㎝의 옥(玉)도 매우 정교하게 다듬어져 있었다. 이 옥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옥으로 인정받게 됐다.
이들 인골의 연대를 신석기 전기로 추정하게 된 결정적 자료는 압인문·융기문토기였다. 통상 신석기 토기의 대표로 꼽히는 빗살무늬(櫛文·즐문)토기는 신석기 중기부터 나오는데 이들 두 유형의 토기는 그 전 단계부터 사용됐기 때문이다.
문물연구원 정의도 원장은 “이 집단 매장터는 신석기 전기에 해당된다”며 “다른 신석기 유적지와 달리 토기들이 거의 원형에 가깝다는 점도 매우 주목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