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추가도발시 군사대응” 美·日도 지지
정부는 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서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강력히 군사적 대응을 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미국과 일본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을 방문 중인 정부 고위 당국자는 특파원들과 만나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으면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데 3국의 이견이 없었다”면서 “미국과 일본은 군사적 대응 부분에서 한국 입장을 전적으로 존중했다”고 밝혔다. 또 군사적 대응 옵션과 관련해 “우리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군사적 대응은 북한의 추가 도발을 전제한 것”이라며 “군사적 대응은 선제적 조치가 아니라 대응 개념이며, 그것에 대한 권리는 우리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고위 당국자는 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회동 제안에 대해 “대화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기가 있다”며 “지금은 대화할 시기가 아니다”고 분명히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진정성을 갖고 대화하겠다는 무언가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3국 외교장관들은 회담에서 북한이 진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면 대화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정리, 현 상태에서의 6자회담을 사실상 거부했다. 김성환 외교장관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좀 더 명확한 어조로 북한에 경고하고, 도발 행위가 지역 안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얘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부 장관은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북한이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도발적 행동을 중단해야만 할 것”이라며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 역할을 촉구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