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 D-2] ‘서울 선언’ 초안 어떻게 만들어질까… 정상들 결단 속 문구 조율 심혈

Է:2010-11-08 18:25
ϱ
ũ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결과물인 ‘서울선언’ 초안은 사실 이미 만들어졌다. 지난달 경주 재무장관회의 직후부터 진행된 각국 간 실무교섭을 통해서다. 그러나 미리 써둔 문구가 정상회담장까지 그대로 오르진 않는다. 단어 하나, 형용사 하나에 국익이 달려 있는 각국이 사활을 걸고 외교각축전에 뛰어들고 있어 정상 간 회의도 연장전을 거듭할 전망이다.

◇서울선언 초안 어떻게 만들어지나=서울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가 공개한 일정표상 모든 회의가 종료되는 시점은 오는 12일 오후 3시30분이다. 정상 간 합의가 담긴 서울선언은 의장인 이명박 대통령에 의해 오후 4시 삼성동 코엑스 미디어센터에서 기자회견과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서울선언은 정상 간 만남 이전에 각국 셰르파(Sherpa·사전교섭대표) 회의를 통해 기본 골격이 만들어진다. 티베트어로 ‘동쪽 사람’을 뜻하는 셰르파는 원래 히말라야 산자락에서 등산 안내인으로 일하는 티베트계 네팔인을 부르는 말이다. 기후 등 현재 여건을 감안하며 산 정상까지 도달하는 목표를 향해 모든 일정과 위기관리를 담당하는 셰르파처럼 각국 사전교섭대표도 정상과 직접 통화하며 문구 조율에 나선다. 주로 각국 경제수석보좌관 등이 맡는 자리로 우리나라에선 G20 준비위 이창용 기획조정단장이 의장국 셰르파로 서울선언의 산파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단장을 포함한 각국 셰르파와 금융안전망 등 의제 세부 협의를 담당하는 재무차관들은 8일부터 코엑스에서 세부 문구 조율을 시작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도 “경주 공동선언 발표 당시 ‘보스(정상)들이 할 일을 다 해버렸다’는 얘기가 나왔지만 구체적인 실천방안 마련을 위해선 정상들의 정치적인 결단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상징적 선언 vs 구체적 실천방안=경주 재무장관회의에 이어 정상 간 서울회의에서도 환율갈등이 회의 분위기를 판가름하는 주요 변수로 부각되면서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고민도 깊어졌다. 서울 정상회의에서도 ‘보다 시장결정적인 환율제도로의 이행’과 ‘경쟁적인 통화절하를 자제한다’는 문장을 넣는 수준의 상징적인 선언 재확인에 그칠 경우 서울회의 전체 이미지는 물론 G20 역할에 대한 손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G20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들의 불만은 물론 G20 회원국에서도 새로운 그룹을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G20 준비위도 일단 환율갈등 관련 중재에 주력하되 ‘코리아 이니셔티브’의 한 축인 글로벌 금융안전망 등에 대한 내용을 명확히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경주 공동선언문에서처럼 IMF의 사전예방대출제도 도입을 환영하면서 IMF와 지역 안전망의 연계를 추진한다는 내용을 명시해 내년 G20 의장국인 프랑스가 다음 추진 단계를 이어받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개발 관련 8개의 핵심의제를 담은 다년간 액션 플랜도 부속문서 형식으로 넣어 재정, 통화, 인프라, 교육 등 다각도의 성장지원계획이 포함될 예정이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